광주 제조업 체감경기 2분기 연속 위축
내수 부진·수출시장 불확실성 등 영향
입력 : 2025. 09. 28(일) 16:34
본문 음성 듣기
가가
광주지역 제조업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실적 및 전망 추이
광주지역 제조업체의 체감경기가 2개 분기 연속 악화했다.
28일 광주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지역 134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4분기 기업경기실사지수(BSI)’조사 결과, 전 분기(87) 대비 2p 하락한 ‘85’로 집계됐다. 이는 2개 분기 연속(92→87→85) 하락이다.
이는 장기화되는 내수 부진과 수출 시장 불확실성, 미국의 관세 정책 등 대외 변수, 인건비 및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지역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여전히 개선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광주상의는 분석했다.
경영항목별로는 매출액(84→86), 영업이익(75→81), 자금사정(72→77)은 전 분기 대비 소폭 상승했으나, 설비투자(92→88)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완성차 생산 확대, 일부 내수 수요 회복 기대 등 긍정 요인이 감지되고 있으나, 내수 침체와 글로벌 수출 환경 불확실성 등 구조적인 제약 요인으로 인해 경영환경 전반의 실질적 개선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반적인 지역 경기 상황에 대해 응답 기업의 37.3%는 ‘변화 없음’, 35.8%는 ‘일부 악화’, 16.4%는 ‘크게 악화’라고 응답했다. 전체의 89.5%가 경기 상황이 악화됐더나 변화가 없다고 평가, 지역 경기전망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관세 등 무역 환경의 불확실성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기업의 49.2%는 ‘변화없음’, 23.9% ‘일부 해소’, 18.7% ‘일부 증가’라고 응답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정책 변화에 대한 기대감이 일부 확인됐지만 미국 관세 정책 불확실성, 미·중 전략 경쟁의 장기화 등으로 인해 기업이 체감하는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분석됐다.
28일 광주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지역 134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4분기 기업경기실사지수(BSI)’조사 결과, 전 분기(87) 대비 2p 하락한 ‘85’로 집계됐다. 이는 2개 분기 연속(92→87→85) 하락이다.
이는 장기화되는 내수 부진과 수출 시장 불확실성, 미국의 관세 정책 등 대외 변수, 인건비 및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지역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여전히 개선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광주상의는 분석했다.
경영항목별로는 매출액(84→86), 영업이익(75→81), 자금사정(72→77)은 전 분기 대비 소폭 상승했으나, 설비투자(92→88)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완성차 생산 확대, 일부 내수 수요 회복 기대 등 긍정 요인이 감지되고 있으나, 내수 침체와 글로벌 수출 환경 불확실성 등 구조적인 제약 요인으로 인해 경영환경 전반의 실질적 개선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반적인 지역 경기 상황에 대해 응답 기업의 37.3%는 ‘변화 없음’, 35.8%는 ‘일부 악화’, 16.4%는 ‘크게 악화’라고 응답했다. 전체의 89.5%가 경기 상황이 악화됐더나 변화가 없다고 평가, 지역 경기전망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관세 등 무역 환경의 불확실성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기업의 49.2%는 ‘변화없음’, 23.9% ‘일부 해소’, 18.7% ‘일부 증가’라고 응답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정책 변화에 대한 기대감이 일부 확인됐지만 미국 관세 정책 불확실성, 미·중 전략 경쟁의 장기화 등으로 인해 기업이 체감하는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분석됐다.
송대웅 기자 sdw0918@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