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강진군 승부수 ‘반값여행’ 국가정책됐다
입력 : 2025. 09. 30(화) 18:34
본문 음성 듣기
강진군의 ‘반값여행’이 국가정책이 됐다.정부의 지역관광 확산 전략에 반영돼 내년부터 인구감소지역 20곳에서 ‘지역사랑 휴가지원제’라는 이름으로 시범 도입된다는 것이다.

사실 ‘반값여행’은 인구 3만2000여명의 작은 군이 살아남기 위한 ‘고육지책’이었다.

인구 감소와 경기 침체에 빠져 있던 강진군은 지난해 1월 ‘누구나 반값여행’을 전국 최초로 도입했다.

강진에 여행온 2인 이상 가족·팀의 경비 절반을 식당·숙박·카페·전통시장 등 1600여 가맹점에서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지역화폐로 돌려주는 것을 말한다.

개인은 최대 10만원, 팀 단위는 20만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게 했다.

내부 소비만으로는 경제를 지탱하기 어려웠던 강진군의 관광을 매개로 한 승부수였던 것이다.

무모한(?)도전은 통했다. 지난해 관광객은 282만명으로 전년보다 43만명 늘었고 같은 기간 방문 인구도 709만명으로 전년 635만명에서 크게 증가했다,

참여자 1만5291팀이 쓴 돈은 66억원이나 됐다.

2023년 1억원에 불과했던 특산물 온라인몰인 ‘초록믿음강진’의 연 매출도 28억원으로까지 뛰어 올랐다.

한국은행이 관련 산업연관표 분석에서 지난해 반값여행에 22억원을 투입해 24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를 거뒀다고 할 정도다.

올해까지 이어져 지난 8월 현재 4만8463팀이 강진에서 쓴 돈만 해도 136억원이 넘게 썼다고 한다.

기존 정주 인구에 관광·통근·통학인구 등을 합친 생활인구도 크게 증가하는 등 인구소멸 대응효과 또한 컸다.

특히 지역상품권으로 지급된 반환액이 숙박·음식업과 농·수·축산물 판매 등으로 이어져 지역 상인들의 만족도도 높다.

또 전국 자치단체들이 공유하는 정책 브랜드화 됐다. 장성·완도·영암, 경남 하동·산청, 충남 홍성, 대전이 이를 시행했고, 충북 충주·전북 전주·경북 상주도 벤치마킹을 하고 있다.

강진군민과 공직자들의 절박한 심정에서 시작한 ‘반값여행’이 지역경제는 타 지자체 경제까지 살리고 있는 것이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사설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