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미국 25% 자동차 관세 부과, 대책마련 절실
입력 : 2025. 03. 30(일) 18:03

[사설]미국 25% 자동차 관세, 대책마련 절실
우려했던 일이 현실이 됐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수입차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자동차 업계, 특히 대미수출 베스트셀러인 스포츠유틸리티(SUV) ‘스포티지’를 생산하고 있는 기아차 광주공장의 경우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6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에 대해 오는 4월 3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내용의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여기에 미 행정부가 4월 2일 발표할 국가별 상호관세까지 더해지면 국내산 자동차의 미국 시장 가격 경쟁력은 약화될 수밖에 없고 수출 감소는 불가피하다.
실제로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이 자동차에 25% 관세를 매길 경우 올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지난해보다 18.59% 감소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기아차 광주공장도 예외는 아니다. 아니 대미 수출의존도가 높아 더 심각한 타격이 우려되고 있다.
광주공장에서는 지난해 전체 생산량 51만 3000여 대 중 64.7%가 넘는 33만 2000여 대를 수출했다고 한다.이중 대미 수출 물량은 스포티지와 셀토스, 쏘울 등 3개 차종 18만여대로 전체 수출물량의 55%가 넘는다.
이는 광주공장의 전체 생산물량 대비 35% 수준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내수보다는 수출 의존도가 높고 대미 수출은 절대적이라는 얘기다.
문제는 기아차 광주공장이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내달부터 미국의 25%관세와 국가별 상호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광주 지역경제 전반에 걸쳐 막대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 광주공장은 지역 제조업 총생산의 30% 정도를 차지하고 있고 기아의 1,2차 협력업체 250여 개도 광주에 소재하고 있다. 예컨대 미국의 관세부과 등으로 수출 차질이 빚어질 경우 1,2차 협력업체를 비롯해 중소 부품협력업체까지 연쇄적으로 직접적인 영향권에 놓이게 된다는 얘기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지역 수출기업들의 무역 환경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정부가 수출기업 피해 최소화 등 다각적인 대책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
우려했던 일이 현실이 됐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수입차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자동차 업계, 특히 대미수출 베스트셀러인 스포츠유틸리티(SUV) ‘스포티지’를 생산하고 있는 기아차 광주공장의 경우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6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에 대해 오는 4월 3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내용의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여기에 미 행정부가 4월 2일 발표할 국가별 상호관세까지 더해지면 국내산 자동차의 미국 시장 가격 경쟁력은 약화될 수밖에 없고 수출 감소는 불가피하다.
실제로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이 자동차에 25% 관세를 매길 경우 올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지난해보다 18.59% 감소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기아차 광주공장도 예외는 아니다. 아니 대미 수출의존도가 높아 더 심각한 타격이 우려되고 있다.
광주공장에서는 지난해 전체 생산량 51만 3000여 대 중 64.7%가 넘는 33만 2000여 대를 수출했다고 한다.이중 대미 수출 물량은 스포티지와 셀토스, 쏘울 등 3개 차종 18만여대로 전체 수출물량의 55%가 넘는다.
이는 광주공장의 전체 생산물량 대비 35% 수준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내수보다는 수출 의존도가 높고 대미 수출은 절대적이라는 얘기다.
문제는 기아차 광주공장이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내달부터 미국의 25%관세와 국가별 상호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광주 지역경제 전반에 걸쳐 막대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 광주공장은 지역 제조업 총생산의 30% 정도를 차지하고 있고 기아의 1,2차 협력업체 250여 개도 광주에 소재하고 있다. 예컨대 미국의 관세부과 등으로 수출 차질이 빚어질 경우 1,2차 협력업체를 비롯해 중소 부품협력업체까지 연쇄적으로 직접적인 영향권에 놓이게 된다는 얘기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지역 수출기업들의 무역 환경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정부가 수출기업 피해 최소화 등 다각적인 대책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