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월어머니 노래’ 공연 업체 선정 놓고 잡음
차순위 업체 전문성 부족 지적…밀어주기 의혹도
일각 "오월행사 독점화 안돼…자정 능력 있어야"
일각 "오월행사 독점화 안돼…자정 능력 있어야"
입력 : 2025. 04. 01(화) 18:14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이 추진하고 있는 ‘오월어머니의 노래’ 공연 업체 선정을 두고 잡음이 이어지고 있다.
사업 우선 계약 협상 업체가 사업을 포기한 데 이어 차순위 업체의 전문성 부족, 실적 부풀리기 등 각종 의혹이 쏟아지고 있고, 공법단체가 업체 선정 과정에서 월권행위를 했다는 정황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1일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등에 따르면 이날 사업 우선 계약 협상 업체가 ‘제안서 협상 결과 불성립’ 서류에 도장을 찍으면서 사업에서 손을 뗐다.
이에 따라 ACC는 동일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후순위 A업체와 협상을 진행한다.
하지만 지난해 공연을 추진한 후순위 A업체를 두고 입찰 당시 실적 부풀리기 의혹과 공연 추진 당시 미흡한 운영 등에 따른 수행 능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A업체가 행사대행업으로 업종을 등록한 것은 1년여에 불과해 공연 기획부터 공연 추진 및 홍보 등에 있어 전문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주장이다.
해당 업체는 지난 2022년 설립해 건축물 일반 청소업으로 등록됐고, 지난해 1월 ACC의 입찰 공고 당시에도 행사대행업으로 등록돼 있지 않아 급하게 이를 변경해 허가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입찰에 참가했던 6개 업체의 경우 전국에서 다수의 공연을 기획, 추진해 왔던 업체들이었던 만큼 A업체가 선정된 것을 두고 뒷말이 무성했었다.
또 전문성이 부족한 탓에 공연장 섭외에도 난항을 겪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홍보도 지인에게 한정적으로 이뤄져 지난해 4월 제주 서귀포 예술의전당 대극장 공연은 820여석 중 170여석, 6월 서울 연세대 백주년기념관 공연은 620여석 중 300여석만 자리가 찼다.
특히 일반 시민에게 오월 정신을 이해하는 경험을 제공한다는 공연 의도와는 다르게 정치권의 주요 인사들의 참석에만 집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더불어 공법단체인 5·18민주화운동 부상자회가 ‘오월어머니의 노래’ 사업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업체 관계자를 찾아가 사업 포기를 종용하는 등 월권행위 논란에도 휩싸였다.
차순위가 된 업체를 5·18부상자회 임원이 운영 중이고, ‘오월행사는 오월단체가 주도적으로 해야 된다’고 주장하며 집단행동을 벌였기 때문이다.
실제 공법단체 회원들은 이번 업체 선정을 두고 지난달 10일 서구의회를 항의 방문해 ‘사업을 내놔라’, ‘포기하지 않으면 서구의회에서 집회를 하겠다’고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논란 속에 ‘차라리 공연을 하지 않는 게 맞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오월어머니의 노래’ 공연 초기부터 지난해까지 공연 기획에 참여했던 김용만씨는 “고인이 된 김동찬 총감독이 기획 단계부터 오월어머니들을 한 명 한 명 찾아가 설득하던 모습을 봤던 만큼 작금의 상황이 달갑지는 않다”며 “어머니들의 슬픔을 위로하고 노래를 통해 치유하기 위한 의미가 다 사라졌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일부 입김을 내는 오월어머니들 위주로 단체가 돌아가고 있다”며 “이것은 오월어머니의 정신이 아니다. 전국화, 세계화를 외치는 5·18이 사유화되고 있다”고 비난했다.
사업 우선 계약 협상 업체가 사업을 포기한 데 이어 차순위 업체의 전문성 부족, 실적 부풀리기 등 각종 의혹이 쏟아지고 있고, 공법단체가 업체 선정 과정에서 월권행위를 했다는 정황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1일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등에 따르면 이날 사업 우선 계약 협상 업체가 ‘제안서 협상 결과 불성립’ 서류에 도장을 찍으면서 사업에서 손을 뗐다.
이에 따라 ACC는 동일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후순위 A업체와 협상을 진행한다.
하지만 지난해 공연을 추진한 후순위 A업체를 두고 입찰 당시 실적 부풀리기 의혹과 공연 추진 당시 미흡한 운영 등에 따른 수행 능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A업체가 행사대행업으로 업종을 등록한 것은 1년여에 불과해 공연 기획부터 공연 추진 및 홍보 등에 있어 전문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주장이다.
해당 업체는 지난 2022년 설립해 건축물 일반 청소업으로 등록됐고, 지난해 1월 ACC의 입찰 공고 당시에도 행사대행업으로 등록돼 있지 않아 급하게 이를 변경해 허가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입찰에 참가했던 6개 업체의 경우 전국에서 다수의 공연을 기획, 추진해 왔던 업체들이었던 만큼 A업체가 선정된 것을 두고 뒷말이 무성했었다.
또 전문성이 부족한 탓에 공연장 섭외에도 난항을 겪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홍보도 지인에게 한정적으로 이뤄져 지난해 4월 제주 서귀포 예술의전당 대극장 공연은 820여석 중 170여석, 6월 서울 연세대 백주년기념관 공연은 620여석 중 300여석만 자리가 찼다.
특히 일반 시민에게 오월 정신을 이해하는 경험을 제공한다는 공연 의도와는 다르게 정치권의 주요 인사들의 참석에만 집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더불어 공법단체인 5·18민주화운동 부상자회가 ‘오월어머니의 노래’ 사업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업체 관계자를 찾아가 사업 포기를 종용하는 등 월권행위 논란에도 휩싸였다.
차순위가 된 업체를 5·18부상자회 임원이 운영 중이고, ‘오월행사는 오월단체가 주도적으로 해야 된다’고 주장하며 집단행동을 벌였기 때문이다.
실제 공법단체 회원들은 이번 업체 선정을 두고 지난달 10일 서구의회를 항의 방문해 ‘사업을 내놔라’, ‘포기하지 않으면 서구의회에서 집회를 하겠다’고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논란 속에 ‘차라리 공연을 하지 않는 게 맞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오월어머니의 노래’ 공연 초기부터 지난해까지 공연 기획에 참여했던 김용만씨는 “고인이 된 김동찬 총감독이 기획 단계부터 오월어머니들을 한 명 한 명 찾아가 설득하던 모습을 봤던 만큼 작금의 상황이 달갑지는 않다”며 “어머니들의 슬픔을 위로하고 노래를 통해 치유하기 위한 의미가 다 사라졌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일부 입김을 내는 오월어머니들 위주로 단체가 돌아가고 있다”며 “이것은 오월어머니의 정신이 아니다. 전국화, 세계화를 외치는 5·18이 사유화되고 있다”고 비난했다.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