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첫 관광도로 ‘여수 백리섬 섬길’ 관광명소 되길
입력 : 2025. 11. 16(일) 18:47
본문 음성 듣기
가가
여수 백리섬 섬길이 ‘2025년 대한민국 관광도로’로 지정됐다고 한다. 이는 지난 2024년 11월 ‘도로법 시행령’개정에 따라 올해 처음 시행되는 제도로 국토교통부 장관이 도로의 경관과 역사, 문화 등 관광 자원과 이용 편의성 등을 평가하고, 도로정책심의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지정하는 관광특화 도로를 말한다.
국토부는 국민들에게 아름답고 볼거리가 있는 도로를 소개해 매력적인 경험과 추억을 제공, 관광객 유치를 통한 관광 소비 활성화와 지역 활력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이를 도입했다. 이번 평가에서 전국 35개 노선 중 10개 노선이 현장평가 대상에 올랐고 이중 여수 백리섬섬길을 포함한 6개 노선이 지정됐다.
‘백리섬 섬길’은 여수 돌산에서 고흥 영남 간 10개 섬, 백리 길인 약 39.2km 구간을 사장교·현수교·아치교·거더교 등 총 11개의 다양한 공법의 해상교량으로 연결한 명품 해양관광도로를 일컫는다. 이 명칭은 전남도가 공모해 지은 새로운 도로명이다.
이 중 개통된 백야도~팔영대교 6개 해상 교량 23㎞ 구간이 이번에 지정됐으며 현재 공사중인 화태~백야 구간 4개 교량과 화태 대교는 준공 후 추가 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다.
이 곳은 연륙·연도교를 따라 펼치지는 남해안의 다도해 절경과 섬 문화, 해양 생태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해안도로로 바다 위를 건너는 다리들이 이어지는 독특한 관광도로다. 섬과 섬을 따라 다양한 체류형 관광상품 개발이 가능한 대한민국 대표 해안관광 루트로 평가되고 있다.
전남도와 국토부 산하 익산지방국토관리청 등은 앞으로 이번에 지정된 노선에 상징성을 부여한 전용 도로 표지(이정표) 설치와 현재 구축 중인 관광도로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관광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한다.또 도로와 주변 관광자원을 연계한 다양한 지원사업도 발굴해 지원키로 했다.
무엇보다 2026여수세계섬박람회를 앞둔 여수시에게는 이번 지정이 주변 관광지와 연계한 스토리 텔링, 관광마케팅 전략 수립 등 관광 인프라 확충을 가속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단순한 도로가 아닌 섬과 섬을 이어주는 살아있는 교량 박물관인 이곳이 전국적인 관광·휴양의 명소가 돼 지역 관광 경제 활성화시키는 마중물이 되길 바란다.
국토부는 국민들에게 아름답고 볼거리가 있는 도로를 소개해 매력적인 경험과 추억을 제공, 관광객 유치를 통한 관광 소비 활성화와 지역 활력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이를 도입했다. 이번 평가에서 전국 35개 노선 중 10개 노선이 현장평가 대상에 올랐고 이중 여수 백리섬섬길을 포함한 6개 노선이 지정됐다.
‘백리섬 섬길’은 여수 돌산에서 고흥 영남 간 10개 섬, 백리 길인 약 39.2km 구간을 사장교·현수교·아치교·거더교 등 총 11개의 다양한 공법의 해상교량으로 연결한 명품 해양관광도로를 일컫는다. 이 명칭은 전남도가 공모해 지은 새로운 도로명이다.
이 중 개통된 백야도~팔영대교 6개 해상 교량 23㎞ 구간이 이번에 지정됐으며 현재 공사중인 화태~백야 구간 4개 교량과 화태 대교는 준공 후 추가 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다.
이 곳은 연륙·연도교를 따라 펼치지는 남해안의 다도해 절경과 섬 문화, 해양 생태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해안도로로 바다 위를 건너는 다리들이 이어지는 독특한 관광도로다. 섬과 섬을 따라 다양한 체류형 관광상품 개발이 가능한 대한민국 대표 해안관광 루트로 평가되고 있다.
전남도와 국토부 산하 익산지방국토관리청 등은 앞으로 이번에 지정된 노선에 상징성을 부여한 전용 도로 표지(이정표) 설치와 현재 구축 중인 관광도로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관광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한다.또 도로와 주변 관광자원을 연계한 다양한 지원사업도 발굴해 지원키로 했다.
무엇보다 2026여수세계섬박람회를 앞둔 여수시에게는 이번 지정이 주변 관광지와 연계한 스토리 텔링, 관광마케팅 전략 수립 등 관광 인프라 확충을 가속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단순한 도로가 아닌 섬과 섬을 이어주는 살아있는 교량 박물관인 이곳이 전국적인 관광·휴양의 명소가 돼 지역 관광 경제 활성화시키는 마중물이 되길 바란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