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곤 국립목포대 환경교육과 교수, 젊은 과학자상 수상
지속적 독성 물질 및 건강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
입력 : 2025. 10. 05(일) 09:19
본문 음성 듣기
가가
김필곤 국립목포대학교 환경교육과 교수가 최근 고려대학교에서 개최된 2025년 국제학회 ‘지속적 독성 물질 및 건강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The 19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Persistent Toxic Substances and Health)에서 ‘젊은 과학자상’을 수상했다.
이번 학회는 ‘Persistent Toxic Substances and Human Health’를 주제로 전 세계 유수의 학자와 전문가들이 모여 환경유해물질의 발생, 노출, 위해성 및 관리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으며, 학문적·사회적 파급력이 큰 국제 학술대회로 꼽힌다.
김필곤 교수는 “그동안의 연구 성과가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되어 매우 뜻깊다”며 “앞으로도 안전한 실내환경 조성과 공중보건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김 교수는 고려대 환경생태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이후 환경화학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이어왔다. 특히 생활환경에서 사용되는 디퓨저, 인센스, 향초, 모기향 등 다양한 화학제품으로 인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노출 평가 연구를 통해 국제적으로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음으로써 이번 수상에 이르게 됐다.
한편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Persistent Toxic Substances and Health는 매년 전 세계 다양한 국가에서 개최되며, 환경과학 및 보건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세계적 권위의 학술대회이다. 이번 학회에는 15개국에서 수백여 명의 연구자가 참가하여 활발한 교류와 토론이 이루어졌다.
국립목포대 환경교육과는 환경보건 및 지속가능성 연구를 선도하며, 지역사회와 국제사회 모두에 기여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실천적인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번 학회는 ‘Persistent Toxic Substances and Human Health’를 주제로 전 세계 유수의 학자와 전문가들이 모여 환경유해물질의 발생, 노출, 위해성 및 관리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으며, 학문적·사회적 파급력이 큰 국제 학술대회로 꼽힌다.
김필곤 교수는 “그동안의 연구 성과가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되어 매우 뜻깊다”며 “앞으로도 안전한 실내환경 조성과 공중보건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김 교수는 고려대 환경생태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이후 환경화학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이어왔다. 특히 생활환경에서 사용되는 디퓨저, 인센스, 향초, 모기향 등 다양한 화학제품으로 인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노출 평가 연구를 통해 국제적으로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음으로써 이번 수상에 이르게 됐다.
한편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Persistent Toxic Substances and Health는 매년 전 세계 다양한 국가에서 개최되며, 환경과학 및 보건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세계적 권위의 학술대회이다. 이번 학회에는 15개국에서 수백여 명의 연구자가 참가하여 활발한 교류와 토론이 이루어졌다.
국립목포대 환경교육과는 환경보건 및 지속가능성 연구를 선도하며, 지역사회와 국제사회 모두에 기여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실천적인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목포=이훈기 기자 leek2123@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