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광주 북구 침수피해 예방책 현실화돼야
입력 : 2025. 08. 20(수) 18:07
본문 음성 듣기
가가
‘괴물폭우’로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광주 북구가 침수 피해 예방 대책을 내놓았다.
최근 집중호우 피해를 입은 신안동, 임동, 건국동 등 주민들을 대상으로 침수 예방대책 주민보고회를 갖고 이같이 밝힌 것이다.
북구는 이 자리에서 총 22개의 극한 호우 대응 도시침수 예방 대책을 제시했다.
무엇보다 이번 폭우 피해가 극심했던 신안동의 침수 예방을 위한 풍수해 생활권 종합정비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곳은 서방천과 맞닿아 있는 저지대로 집중호우때마다 침수피해를 입고 있고 이번 폭우 때도 하천 범람을 막기 위한 차수벽이 저지대 대로변에서 몰려 들어오는 물을 빠져나가지 못하게 해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북구는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침수지역 일대의 토지와 건물을 매입해 서방천을 직선화하는 것을 정부에 건의키로 한 것이다.
하천 직선화를 통해 범람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단면을 넓히는 한편, 기존 교각 6개의 신안철교를 재가설해 유수량을 확보하겠다는 의도다.
여기에 일대 하수관로 개선, 우수펌프로 신설, 홍수예·경보기를 설치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고 한다.
북구는 관련 사업비가 약 350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 이달 중 사업 타당성조사·기본계획수립용역에 착수해 내년 3월 행안부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키로 했다.
또 호남고속도로 일부 구간 침수를 막기 위해 용봉IC부터 영산강까지 3.8㎞ 구간에 용봉천 우회배수로를 신설하는 방안을 한국도로공사에 제안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서방천 하부에 입체 하수로를 신설, 광주천 대심도 지하방수로와 연계해 서방천의 수위 저감을 도모하는 방법도 고려하기로 했다.
건국동 내 수곡천에 대해서도 교량을 다시 짓고 수문 일체형 펌프를 만드는가 하면, 농어촌공사에 용천천 일대 농배수로 개선·기존 펌프장 증설 필요성을 건의할 방침이다.
북구가 이처럼 갖가지 침수피해 예방책을 내놓았지만 실현 가능성은 미지수다. 대부분이 관련 예산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시한 대책안 수준이기 때문이다.
북구는 이들 안이 현실이 될 수 있도록 국비확보 등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때다.
최근 집중호우 피해를 입은 신안동, 임동, 건국동 등 주민들을 대상으로 침수 예방대책 주민보고회를 갖고 이같이 밝힌 것이다.
북구는 이 자리에서 총 22개의 극한 호우 대응 도시침수 예방 대책을 제시했다.
무엇보다 이번 폭우 피해가 극심했던 신안동의 침수 예방을 위한 풍수해 생활권 종합정비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곳은 서방천과 맞닿아 있는 저지대로 집중호우때마다 침수피해를 입고 있고 이번 폭우 때도 하천 범람을 막기 위한 차수벽이 저지대 대로변에서 몰려 들어오는 물을 빠져나가지 못하게 해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북구는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침수지역 일대의 토지와 건물을 매입해 서방천을 직선화하는 것을 정부에 건의키로 한 것이다.
하천 직선화를 통해 범람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단면을 넓히는 한편, 기존 교각 6개의 신안철교를 재가설해 유수량을 확보하겠다는 의도다.
여기에 일대 하수관로 개선, 우수펌프로 신설, 홍수예·경보기를 설치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고 한다.
북구는 관련 사업비가 약 350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 이달 중 사업 타당성조사·기본계획수립용역에 착수해 내년 3월 행안부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키로 했다.
또 호남고속도로 일부 구간 침수를 막기 위해 용봉IC부터 영산강까지 3.8㎞ 구간에 용봉천 우회배수로를 신설하는 방안을 한국도로공사에 제안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서방천 하부에 입체 하수로를 신설, 광주천 대심도 지하방수로와 연계해 서방천의 수위 저감을 도모하는 방법도 고려하기로 했다.
건국동 내 수곡천에 대해서도 교량을 다시 짓고 수문 일체형 펌프를 만드는가 하면, 농어촌공사에 용천천 일대 농배수로 개선·기존 펌프장 증설 필요성을 건의할 방침이다.
북구가 이처럼 갖가지 침수피해 예방책을 내놓았지만 실현 가능성은 미지수다. 대부분이 관련 예산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시한 대책안 수준이기 때문이다.
북구는 이들 안이 현실이 될 수 있도록 국비확보 등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때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