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군, 취약계층에 촘촘한 행정서비스
‘민원코디’ 제도 도입…1대 1 맞춤형 안내 제공
민원 처리·다문화가족 언어장벽 해소 등 지원
민원 처리·다문화가족 언어장벽 해소 등 지원
입력 : 2025. 04. 01(화) 08:22

곡성군청 전경
곡성군이 지역 내 취약계층을 위한 촘촘한 복지정책 등 행정서비스 강화에 나선다.
1일 곡성군에 따르면 올해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해 ‘민원코디’ 제도를 새롭게 도입했다.
민원코디 제도는 장애인, 고령자, 다문화가족 등 사회배려대상자가 곡성군청 민원실을 방문할 경우 더욱 편리하게 민원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1대 1 맞춤형 안내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기존에도 사회배려대상자를 위한 다양한 행정 지원이 있었지만, 복잡한 절차와 어려운 용어 때문에 많은 이들이 민원 처리 과정에서 불편을 겪어왔다.
이에 따라 군은 더욱 친절하고 세심한 민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민원코디를 배치해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했다. 민원코디로는 공공근로, 청원경찰, 사회복무요원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민원코디는 곡성군청 민원실 내에서 사회배려대상자가 민원을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담당한다. 주요 역할로는 민원서류 작성 지원, 절차·처리 과정 설명, 기관 내 이동 도움, 필요한 추가 상담 연결 등이 포함된다.
아울러 다문화가족이나 외국인의 경우 언어 장벽을 해소할 수 있도록 작년에 제작한 외국인을 위한 민원 서식 해석본(베트남어, 중국어, 일본어, 영어)을 통해 민원 안내 서비스도 지원한다.
이 제도 도입으로 인해 민원 처리 과정에서 겪는 불편이 줄어들고,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행정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사회적 취약계층이 공공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부담을 줄이고, 친근한 환경에서 민원 업무를 볼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또 군은 민원코디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민원 응대 요령 및 민원 처리 업무 관련 전문 교육을 시행할 예정이다.
곡성군 관계자는 “이번 민원코디 제도 도입으로 인해 사회 배려 대상자들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군민 중심의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1일 곡성군에 따르면 올해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해 ‘민원코디’ 제도를 새롭게 도입했다.
민원코디 제도는 장애인, 고령자, 다문화가족 등 사회배려대상자가 곡성군청 민원실을 방문할 경우 더욱 편리하게 민원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1대 1 맞춤형 안내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기존에도 사회배려대상자를 위한 다양한 행정 지원이 있었지만, 복잡한 절차와 어려운 용어 때문에 많은 이들이 민원 처리 과정에서 불편을 겪어왔다.
이에 따라 군은 더욱 친절하고 세심한 민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민원코디를 배치해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했다. 민원코디로는 공공근로, 청원경찰, 사회복무요원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민원코디는 곡성군청 민원실 내에서 사회배려대상자가 민원을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담당한다. 주요 역할로는 민원서류 작성 지원, 절차·처리 과정 설명, 기관 내 이동 도움, 필요한 추가 상담 연결 등이 포함된다.
아울러 다문화가족이나 외국인의 경우 언어 장벽을 해소할 수 있도록 작년에 제작한 외국인을 위한 민원 서식 해석본(베트남어, 중국어, 일본어, 영어)을 통해 민원 안내 서비스도 지원한다.
이 제도 도입으로 인해 민원 처리 과정에서 겪는 불편이 줄어들고,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행정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사회적 취약계층이 공공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부담을 줄이고, 친근한 환경에서 민원 업무를 볼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또 군은 민원코디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민원 응대 요령 및 민원 처리 업무 관련 전문 교육을 시행할 예정이다.
곡성군 관계자는 “이번 민원코디 제도 도입으로 인해 사회 배려 대상자들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군민 중심의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