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형배, 'CT연구원 광주 설립’ 정책토론회
"관련법 개정해 유치에 힘 보탤 것"
입력 : 2025. 03. 31(월) 16:05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의원(광주 광산구을)은 1일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연다.
최근 인공지능(AI), 메타버스, 공간 컴퓨팅, 생성형 콘텐츠 등 첨단 기술이 문화산업과 결합하면서 문화기술(CT)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에서도 ‘문화한국 2035’ 비전 아래 문화기술 연구개발(R&D)과 산업 육성을 통해 국가 문화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번 정책토론회는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의 필요성과 문화기술을 활용한 미래 산업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참석자들은 이날 연구원의 설립 당위성과 역할을 살펴보고, 시민사회-정부-대학-연구기관 간 협력 체계 구축 방안을 모색한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축사를 통해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 취지에 공감을 표하며, 문화기술의 미래 가치를 강조할 예정이다.
윤정원 GIST 한국문화기술연구소장은 기조 발제를 통해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필요성과 설립 방향 및 해외 연구기관 사례와 시사점’에 대해, 우운택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는 ‘문화기술3.0 시대 K-CT연구원 역할과 운영방안’에 대해 각각 주제발표에 나선다.
발표 후에는 민·관·학·연 전문가들이 모여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역할과 발전 방안을 심도있게 논의할 계획이다.
이번 토론회를 주최한 민형배 의원은 “CT연구원 광주 설립은 2007년 노무현 대통령께서 문화기술에 대한 체계적인 기반 조성을 위해 의욕적으로 추진했던 사업이었지만, 이명박·박근혜 정부에서 백지화해 18년째 답보상태”라며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에 CT연구원을 설립하기 위해 법 개정과 제도보완으로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는 광주 국회의원인 박균택·안도걸·양문석·양부남·전진숙·정준호·정진욱·조인철 의원이 공동주최로, 광주과학기술원(GIST), 한국문화기술연구소가 공동주관으로 참여한다.
최근 인공지능(AI), 메타버스, 공간 컴퓨팅, 생성형 콘텐츠 등 첨단 기술이 문화산업과 결합하면서 문화기술(CT)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에서도 ‘문화한국 2035’ 비전 아래 문화기술 연구개발(R&D)과 산업 육성을 통해 국가 문화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번 정책토론회는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의 필요성과 문화기술을 활용한 미래 산업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참석자들은 이날 연구원의 설립 당위성과 역할을 살펴보고, 시민사회-정부-대학-연구기관 간 협력 체계 구축 방안을 모색한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축사를 통해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 취지에 공감을 표하며, 문화기술의 미래 가치를 강조할 예정이다.
윤정원 GIST 한국문화기술연구소장은 기조 발제를 통해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필요성과 설립 방향 및 해외 연구기관 사례와 시사점’에 대해, 우운택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는 ‘문화기술3.0 시대 K-CT연구원 역할과 운영방안’에 대해 각각 주제발표에 나선다.
발표 후에는 민·관·학·연 전문가들이 모여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역할과 발전 방안을 심도있게 논의할 계획이다.

이날 토론회는 광주 국회의원인 박균택·안도걸·양문석·양부남·전진숙·정준호·정진욱·조인철 의원이 공동주최로, 광주과학기술원(GIST), 한국문화기술연구소가 공동주관으로 참여한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