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미복귀 의대생, ‘무더기 제적 사태’
전남대, 제적예정통보서 발송…조선대는 31일
수도권 ‘빅5’·충남대 전원 복귀 움직임과 대조
수도권 ‘빅5’·충남대 전원 복귀 움직임과 대조
입력 : 2025. 03. 30(일) 18:22

지난해부터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반발해 의대생들이 동맹휴학을 이어가고 있다. 사진은 텅 빈 강의실의 모습.
최기남 기자 bluesky@gwangnam.co.kr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반발해 동맹 휴학 중인 광주지역 의대생들이 무더기 제적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30일 지역 의료계에 따르면 전남대는 지난 28일 정오까지 이번 학기 복학신청서 추가 접수를 마감하고, 군 입대·질병 등 사유 없이 학교로 복귀하지 않은 의대생 전원에게 제적 방침을 통보했다.
앞서 전남대는 21일 의대생들의 휴학원을 반려 조치했고, 24일까지 복학 신청을 받았다.
그러나 복학을 신청한 학생 수는 미미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의대생들은 복학 신청 접수를 마감한 이후 복귀 의사를 밝혔고, 지난 28일 정오까지 추가 접수했다.
복학 추가 신청 기간에 다수의 의대생이 복귀 의사를 밝혔으나, 대거 제적 우려를 해소할 수준은 아닌 것으로 전해졌다.
복학 신청서 추가 접수를 마감한 전남대는 제적 예정 통보서 발송을 시작했다. 사전 통지 기간 학생들은 제적 처분의 취소를 요구하는 이의신청을 할 수 있는데, 정상 출석 중이나 단순 실수에 의한 복학 신청 누락 등 사유를 소명해야 한다.
교육 당국이 복학 기한 이후 접수를 승인하지 않으면 뒤늦게 복학을 신청한 학생들도 제적 대상으로 분류된다.
올해 전남대 의대 총원은 893명이다. 이중 이번 학기에 등록한 2025학번 163명과 복학생 30여명, 군 입대와 질병 휴학자 일부를 제외한 상당수가 미등록 제적 대상자로 추산된다.
조선대학교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지난 28일 자정까지 복학 신청을 받았지만, 그 수가 미미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대는 복학 신청 기한 연장 계획은 아직 없으며, 제적 예정 통보서를 31일 발송한다는 방침이다.
조선대의 경우 의대생 878명 중 신입생 150명을 포함한 189명만 이번 학기에 재학 중이다.
나머지 689명은 휴학 상태이며, 이중 지난해 동맹휴학에 나선 학생은 676명으로 파악된다.
전남대와 조선대는 제적 의대생 구제 방안은 없을 것이라고 공지해왔으며, 편입학 확대 등 의대생 대거 제적에 따른 별도의 충원 계획은 아직 마련하지 않았다.
지역 대학 관계자는 “복학을 신청한 학생 수는 유의미하지 않은 수준이다”며 “복학 현황은 향후 해법이 도출될 수도 있어 공개하지 않기로 한 것으로 알고 있으며, 별다른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무더기 제적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광주지역과 달리 수도권을 비롯한 소위 ‘빅5’ 의대에서는 의대생들의 복학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27일 서울대 의대생들이 투표를 통해 전원복귀를 결정한 데 이어 연세대와 성균관대, 가톨릭대 역시 ‘등록 후 투쟁’으로 노선을 선회했다. 고려대, 차의과대도 전원 복귀했다.
울산대와 충남대는 지난 28일 등록 마감 시한에 맞춰 의대생 전원이 등록을 마친 것으로 전해진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비수도권은 의정 갈등의 핵심인 증원의 대다수를 배정받은 만큼 학생회의 입장이 수도권에 비해 강경하다”며 “또 애초부터 수도권 의대로의 진입을 노리는 비수도권 의대생들도 있어 대학과 정부의 ‘최후의 통첩’이 압박으로 다가오지 않았을 것이다”고 전했다.
한편, 교육부는 31일까지 의대생의 복귀와 수업 참여 현황을 보고 이르면 다음주 중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동결 여부를 확정해 발표할 방침이다.
30일 지역 의료계에 따르면 전남대는 지난 28일 정오까지 이번 학기 복학신청서 추가 접수를 마감하고, 군 입대·질병 등 사유 없이 학교로 복귀하지 않은 의대생 전원에게 제적 방침을 통보했다.
앞서 전남대는 21일 의대생들의 휴학원을 반려 조치했고, 24일까지 복학 신청을 받았다.
그러나 복학을 신청한 학생 수는 미미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의대생들은 복학 신청 접수를 마감한 이후 복귀 의사를 밝혔고, 지난 28일 정오까지 추가 접수했다.
복학 추가 신청 기간에 다수의 의대생이 복귀 의사를 밝혔으나, 대거 제적 우려를 해소할 수준은 아닌 것으로 전해졌다.
복학 신청서 추가 접수를 마감한 전남대는 제적 예정 통보서 발송을 시작했다. 사전 통지 기간 학생들은 제적 처분의 취소를 요구하는 이의신청을 할 수 있는데, 정상 출석 중이나 단순 실수에 의한 복학 신청 누락 등 사유를 소명해야 한다.
교육 당국이 복학 기한 이후 접수를 승인하지 않으면 뒤늦게 복학을 신청한 학생들도 제적 대상으로 분류된다.
올해 전남대 의대 총원은 893명이다. 이중 이번 학기에 등록한 2025학번 163명과 복학생 30여명, 군 입대와 질병 휴학자 일부를 제외한 상당수가 미등록 제적 대상자로 추산된다.
조선대학교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지난 28일 자정까지 복학 신청을 받았지만, 그 수가 미미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대는 복학 신청 기한 연장 계획은 아직 없으며, 제적 예정 통보서를 31일 발송한다는 방침이다.
조선대의 경우 의대생 878명 중 신입생 150명을 포함한 189명만 이번 학기에 재학 중이다.
나머지 689명은 휴학 상태이며, 이중 지난해 동맹휴학에 나선 학생은 676명으로 파악된다.
전남대와 조선대는 제적 의대생 구제 방안은 없을 것이라고 공지해왔으며, 편입학 확대 등 의대생 대거 제적에 따른 별도의 충원 계획은 아직 마련하지 않았다.
지역 대학 관계자는 “복학을 신청한 학생 수는 유의미하지 않은 수준이다”며 “복학 현황은 향후 해법이 도출될 수도 있어 공개하지 않기로 한 것으로 알고 있으며, 별다른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무더기 제적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광주지역과 달리 수도권을 비롯한 소위 ‘빅5’ 의대에서는 의대생들의 복학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27일 서울대 의대생들이 투표를 통해 전원복귀를 결정한 데 이어 연세대와 성균관대, 가톨릭대 역시 ‘등록 후 투쟁’으로 노선을 선회했다. 고려대, 차의과대도 전원 복귀했다.
울산대와 충남대는 지난 28일 등록 마감 시한에 맞춰 의대생 전원이 등록을 마친 것으로 전해진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비수도권은 의정 갈등의 핵심인 증원의 대다수를 배정받은 만큼 학생회의 입장이 수도권에 비해 강경하다”며 “또 애초부터 수도권 의대로의 진입을 노리는 비수도권 의대생들도 있어 대학과 정부의 ‘최후의 통첩’이 압박으로 다가오지 않았을 것이다”고 전했다.
한편, 교육부는 31일까지 의대생의 복귀와 수업 참여 현황을 보고 이르면 다음주 중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동결 여부를 확정해 발표할 방침이다.
이산하 기자 goback@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