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 시범사업 본격 추진
‘공공주도 해상풍력 경쟁입찰’서 최대 규모 400MW 선정
입력 : 2025. 09. 01(월) 14:20
본문 음성 듣기
가가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 전경
한국전력이 최대주주로 참여하는 전북 서남권 400MW 해상풍력 시범사업이 ‘2025년도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고정가격 경쟁입찰’에서 최종 선정됐다.
1일 한전에 따르면 전북 서남권 400MW 사업은 한전과 발전공기업이 100% 지분을 보유한 한국해상풍력㈜이 개발 중인 사업으로, 이번 입찰에서 선정된 4개 프로젝트 가운데 최대 규모다.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고정가격 경쟁입찰은 올해 처음 도입됐다. 한국에너지공단이 주관하며, 공공기관 주도의 사업 추진과 석탄발전의 정의로운 전환, 국내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낙찰된 사업자는 생산 전력을 20년간 고정가격에 판매할 수 있어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해상풍력 14.3GW 보급을 추진 중이다. 이번에 100% 공공지분으로 추진되는 400MW 대규모 시범사업이 선정됨에 따라, 초기 해상풍력 확산 과정에서 공공의 역할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국산 터빈을 적용할 경우 약 6조원 규모의 수입 대체 효과도 기대된다.
한전 관계자는 “앞으로 터빈 선정, EPC 계약, 재원 조달 등 사업 전 과정을 차질 없이 추진해 이번 사업이 공공주도 해상풍력의 대표 모델로 자리 잡도록 할 계획”이라며 “아울러 공공성과 경쟁력을 동시에 강화하며, 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전환이라는 목표 달성에 지속적인 역할을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1일 한전에 따르면 전북 서남권 400MW 사업은 한전과 발전공기업이 100% 지분을 보유한 한국해상풍력㈜이 개발 중인 사업으로, 이번 입찰에서 선정된 4개 프로젝트 가운데 최대 규모다.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고정가격 경쟁입찰은 올해 처음 도입됐다. 한국에너지공단이 주관하며, 공공기관 주도의 사업 추진과 석탄발전의 정의로운 전환, 국내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낙찰된 사업자는 생산 전력을 20년간 고정가격에 판매할 수 있어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해상풍력 14.3GW 보급을 추진 중이다. 이번에 100% 공공지분으로 추진되는 400MW 대규모 시범사업이 선정됨에 따라, 초기 해상풍력 확산 과정에서 공공의 역할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국산 터빈을 적용할 경우 약 6조원 규모의 수입 대체 효과도 기대된다.
한전 관계자는 “앞으로 터빈 선정, EPC 계약, 재원 조달 등 사업 전 과정을 차질 없이 추진해 이번 사업이 공공주도 해상풍력의 대표 모델로 자리 잡도록 할 계획”이라며 “아울러 공공성과 경쟁력을 동시에 강화하며, 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전환이라는 목표 달성에 지속적인 역할을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