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발족 호남발전특위 ‘차별화 전략’ 시험대 오른다
대선공약 외 ‘낙후 극복’ 특별한 목표 설정을
‘정치적 수사’ 10년전 호남비전특위와 달라야
‘정치적 수사’ 10년전 호남비전특위와 달라야
입력 : 2025. 08. 20(수) 17:35
본문 음성 듣기
가가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20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리는 경북 경주시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경북 현장 최고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
21일 국회에서 발족하는 ‘더불어민주당 호남발전특별위원회’의 차별화 전략이 절실해졌다.
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20일 경주에서 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영남의 인재를 발굴·육성하고 지방선거에도 대비하는 가칭 ‘영남발전특위’를 사무총장님께서 고민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민주당으로서는 험지인 영남권의 민생을 챙기며 표밭을 다져 선거에서 열세를 극복하기 위한 포석으로 읽히지만 공교롭게도 21일 발족하는 호남발전특위와 겹쳐 지역민들 사이에 우려가 커지고 있다.
비록 정 대표가 이재명 대통령의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필요하다’는 언급까지 제기하며 호남 발전을 위한 대안 도출을 강조했지만 자칫 호남발전특위도 정치적 의도로 해석될 여지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번에 발족하는 호남발전특위도 2016년의 ‘호남비전위원회’ 정도의 활동 정도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지난 2016년 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8월 전당대회에서 승리한 뒤 10월에 호남비전위를 발족하고 자신이 직접 위원장에 앉아 위원회 활동을 진두지휘했다.
호남비전특위는 당시 20대 총선 결과 호남에서 1당을 국민의당에 내줘 차기 대선에서 호남 민심을 잡지 못하면 정권창출에 큰 차질을 빚을 우려 때문에 설립된 것으로 풀이된다.
당시 호남비전특위는 그해 열린 정기국회에서 호남 현안사업 예산을 국회에서 증액하고, 지역 인사들은 당직에 배려했다고 성과를 홍보했다.
따라서 닻을 올리는 호남발전특위가 당내 다른 위원회와 차별화된 전략과 변별력 있는 활동으로 그 설립 의도를 명확히 보여줘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내년 지방선거를 10개월 앞둔 시점이어서 특위 위원 선임과 관련해 이런 오해를 완전히 불식시키기는 어려워 보인다.
호남발전특위 위원장에 임명된 서삼석 의원(영암·무안·신안 3선 국회의원)은 물론이고 수석부위원장에 임명된 이병훈 전 의원과 김성 장흥군수 모두 내년 지방선거에 출마가 유력해 보이는 후보자들이다.
21일 발표될 호남발전특위 위원들도 이런 맥락에서 유력한 지방선거 후보자들을 되도록 제외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에 대해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어 정치적인 의도로 해석되지 않도록 인선에 신중을 기했다”면서도 “다만 일부 특위에 꼭 필요한 인사가 현직인 선출직 공직자인 경우는 참여시켰다”고 말했다.
호남발전특위는 그와는 다른 면모를 보여줘야 한다.
당장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공약 이행도 중요하지만 그와는 별도로 전국에서 가장 낙후된 호남을 발전시키기 위한 특별한 목표 설정이 절실해 보인다.
이 대통령의 공약은 타 지역에도 상당한 지역발전 파급력이 있는 정책과 사업들이 제시됐고, 모두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포함됐다.
정 대표는 취임하자마자 광주와 나주를 찾아 “표나게 호남인들에게 보답해 주고 싶다”고 말했고, 호남발전특위를 상설특위로 운영하겠다는 구상을 실천했다.
호남을 낙후와 소외의 그늘에서 구하는 치밀한 전략 설정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호남 출신 당직자는 이에 대해 “2016년에도 그랬듯이 그저 현안사업과 예산을 타 지역보다 조금 더 배려하는 선심성 정책이나 사업으로는 호남 민심을 얻지 못할 것”이라며 “낙후와 소외의 문제를 해결하는 근원적인 처방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기후에너지부, 인공지능청 등 정부기관을 신설해 호남에 배치하며, 초고자기장 인프라 구축, 남부권 메가시티 조성, 인공지능 모빌리티 시티 조성 등 새로운 지역발전 대안을 호남발전특위에서 도출하고, 정부와 함께 실현해 나갈 토대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20일 경주에서 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영남의 인재를 발굴·육성하고 지방선거에도 대비하는 가칭 ‘영남발전특위’를 사무총장님께서 고민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민주당으로서는 험지인 영남권의 민생을 챙기며 표밭을 다져 선거에서 열세를 극복하기 위한 포석으로 읽히지만 공교롭게도 21일 발족하는 호남발전특위와 겹쳐 지역민들 사이에 우려가 커지고 있다.
비록 정 대표가 이재명 대통령의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필요하다’는 언급까지 제기하며 호남 발전을 위한 대안 도출을 강조했지만 자칫 호남발전특위도 정치적 의도로 해석될 여지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번에 발족하는 호남발전특위도 2016년의 ‘호남비전위원회’ 정도의 활동 정도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지난 2016년 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8월 전당대회에서 승리한 뒤 10월에 호남비전위를 발족하고 자신이 직접 위원장에 앉아 위원회 활동을 진두지휘했다.
호남비전특위는 당시 20대 총선 결과 호남에서 1당을 국민의당에 내줘 차기 대선에서 호남 민심을 잡지 못하면 정권창출에 큰 차질을 빚을 우려 때문에 설립된 것으로 풀이된다.
당시 호남비전특위는 그해 열린 정기국회에서 호남 현안사업 예산을 국회에서 증액하고, 지역 인사들은 당직에 배려했다고 성과를 홍보했다.
따라서 닻을 올리는 호남발전특위가 당내 다른 위원회와 차별화된 전략과 변별력 있는 활동으로 그 설립 의도를 명확히 보여줘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내년 지방선거를 10개월 앞둔 시점이어서 특위 위원 선임과 관련해 이런 오해를 완전히 불식시키기는 어려워 보인다.
호남발전특위 위원장에 임명된 서삼석 의원(영암·무안·신안 3선 국회의원)은 물론이고 수석부위원장에 임명된 이병훈 전 의원과 김성 장흥군수 모두 내년 지방선거에 출마가 유력해 보이는 후보자들이다.
21일 발표될 호남발전특위 위원들도 이런 맥락에서 유력한 지방선거 후보자들을 되도록 제외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에 대해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어 정치적인 의도로 해석되지 않도록 인선에 신중을 기했다”면서도 “다만 일부 특위에 꼭 필요한 인사가 현직인 선출직 공직자인 경우는 참여시켰다”고 말했다.
호남발전특위는 그와는 다른 면모를 보여줘야 한다.
당장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공약 이행도 중요하지만 그와는 별도로 전국에서 가장 낙후된 호남을 발전시키기 위한 특별한 목표 설정이 절실해 보인다.
이 대통령의 공약은 타 지역에도 상당한 지역발전 파급력이 있는 정책과 사업들이 제시됐고, 모두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포함됐다.
정 대표는 취임하자마자 광주와 나주를 찾아 “표나게 호남인들에게 보답해 주고 싶다”고 말했고, 호남발전특위를 상설특위로 운영하겠다는 구상을 실천했다.
호남을 낙후와 소외의 그늘에서 구하는 치밀한 전략 설정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호남 출신 당직자는 이에 대해 “2016년에도 그랬듯이 그저 현안사업과 예산을 타 지역보다 조금 더 배려하는 선심성 정책이나 사업으로는 호남 민심을 얻지 못할 것”이라며 “낙후와 소외의 문제를 해결하는 근원적인 처방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기후에너지부, 인공지능청 등 정부기관을 신설해 호남에 배치하며, 초고자기장 인프라 구축, 남부권 메가시티 조성, 인공지능 모빌리티 시티 조성 등 새로운 지역발전 대안을 호남발전특위에서 도출하고, 정부와 함께 실현해 나갈 토대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