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정치지도자를 키울 투표가 필요하다
박정렬 지역사회부장
입력 : 2024. 03. 31(일) 18:33

박정렬 지역사회부장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 등 전국단위 선거가 이뤄지면 흔히 ‘호남의 표심이 판세를 가른다’는 말들을 한다.
매 선거 때마다 전국 최상위 투표율을 기록하고 있을 뿐 아니라 광주·전남·전북 외에도 전국 각지에 나가 있는 1000만명에 가까운 호남 향우들의 표심이 선거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기에 선거 때마다 호남 표심을 잡기 위한 각 정당의 구애도 절실하다.
이 같은 상황과 달리 4·10 총선에서 광주·전남의 현주소는 어떤가.
4월 10일 치러지는 제22대 국회의원선거가 10일도 남지 않았지만 거리는 차분하다 못해 조용한 상황이다. 광주 8개, 전남 10개 선거구에서 72명의 후보가 저마다 국회에 입성하기 위해 출마했지만 몇몇 곳을 제외하면 이미 당락이 결정됐다는 분석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근간을 이루고 있고, 민주시민의식이 높은 지역이라는 온갖 ‘미사여구’로 치장되지만 정작 광주·전남 국회의원 선거의 당선자가 누가 될지에 대해서는 언론과 타 지역의 관심을 받지 못한다. 광주·전남은 변방이요, 소외가 반복되고 있다.
이는 특정 정치세력에 대한 절대적 지지가 낳은 결과물일 것이다. 이전까지의 선거를 살펴보면 광주·전남은 대부분 민주진보 진영 후보에 ‘몰빵’ 투표 성향을 보여왔다. 이렇다 보니 보수진영은 기를 펴지 못하고, 당선을 위한 인재 영입이나 노력도 그다지 보여주지 않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경선이 이뤄지던 3월을 되돌아보자. 공천권을 따내기 위한 후보 간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이중투표’, ‘전화방 운영’ 등 고소·고발이 난무하고 온갖 잡음이 발생했다. 최종 후보로 누가 되는지에 대한 관심도 뜨거웠다.
하지만 딱 거기까지다. 정작 본 선거에서는 민주당에 대적할 정당이 없다 보니 후보들의 선거운동도 당내 경선에 비해 현격히 떨어지고, 유권자들의 관심 또한 크지 않다.
그나마 ‘조국혁신당’ 출현으로 비례정당 투표에서 어느 정당에 투표할까에 대한 고민 정도를 하고 있을 뿐이다. 지역구의 경우 우리 지역이 아닌 당락을 알 수 없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수도권이나 충청권, 부산·경남 선거에 대한 관심을 더 갖고 있는 지역 유권자들이 많을 것이다.
이 같은 현상의 고착화는 역설적으로 지역 정치인이 정치지도자로 커 나가지 못하는 환경을 만들고 있는지도 모른다.
21대 총선에서 당선된 광주·전남 국회의원 중 22대 총선 후보에 6명에 불과하다. ‘현역 프리미엄’이란 이야기를 자주 하는데 현역들이 정치 신예라 할 수 있는 도전자들에게 경선에서 밀려 공천을 받지 못한 것이다. 공천 경쟁에서 살아남은 현역들의 면면을 보더라도 절반이 초선인 데다, 재선 의원 2명과 3선 의원 1명에 불과하다.
매 선거마다 당내 경선뿐 아니라 치열한 본선 무대를 거쳐 국회에 입성한 정치인과 달리 광주·전남이라는 온실 속 화초와 같은 환경에서 선거를 치른 지역 정치인의 체급이 다른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해 보이기도 하다.
재선, 3선 등 선서를 더해가더라도 지역 터줏대감에 그칠 뿐 중앙 정치무대에서 이렇다 할 정치적 역량을 발휘하지 못하는 허약함으로 인해 정치지도자가 되지 못하고 정치인에 머물러 있는 것처럼 보인다.
민주주의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선거를 통해 우리는 허약한 정치인만을 양산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볼 필요도 있어 보인다.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지역 정치지형을 탓하는데 그쳐서는 안된다. 정치권이 바뀌기를 기다릴 것이 아니라 유권자가 먼저 스스로 바꿔야 한다. 정치색을 떠나 4년 임기의 정치인이 아닌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질 정치지도자를 키워낼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IMF 위기를 극복하고 노벨평화상을 수상하는 등 세계적 민주지도자로 평가되고 있는 김대중 전 대통령 이후 우리 지역을 대표할만한 정치지도자를 찾아볼 수 없다.
매번 똑같은 투표로는 제2, 제3의 김대중이 나오는 것을 기대하기 어렵다.
매 선거 때마다 전국 최상위 투표율을 기록하고 있을 뿐 아니라 광주·전남·전북 외에도 전국 각지에 나가 있는 1000만명에 가까운 호남 향우들의 표심이 선거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기에 선거 때마다 호남 표심을 잡기 위한 각 정당의 구애도 절실하다.
이 같은 상황과 달리 4·10 총선에서 광주·전남의 현주소는 어떤가.
4월 10일 치러지는 제22대 국회의원선거가 10일도 남지 않았지만 거리는 차분하다 못해 조용한 상황이다. 광주 8개, 전남 10개 선거구에서 72명의 후보가 저마다 국회에 입성하기 위해 출마했지만 몇몇 곳을 제외하면 이미 당락이 결정됐다는 분석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근간을 이루고 있고, 민주시민의식이 높은 지역이라는 온갖 ‘미사여구’로 치장되지만 정작 광주·전남 국회의원 선거의 당선자가 누가 될지에 대해서는 언론과 타 지역의 관심을 받지 못한다. 광주·전남은 변방이요, 소외가 반복되고 있다.
이는 특정 정치세력에 대한 절대적 지지가 낳은 결과물일 것이다. 이전까지의 선거를 살펴보면 광주·전남은 대부분 민주진보 진영 후보에 ‘몰빵’ 투표 성향을 보여왔다. 이렇다 보니 보수진영은 기를 펴지 못하고, 당선을 위한 인재 영입이나 노력도 그다지 보여주지 않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경선이 이뤄지던 3월을 되돌아보자. 공천권을 따내기 위한 후보 간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이중투표’, ‘전화방 운영’ 등 고소·고발이 난무하고 온갖 잡음이 발생했다. 최종 후보로 누가 되는지에 대한 관심도 뜨거웠다.
하지만 딱 거기까지다. 정작 본 선거에서는 민주당에 대적할 정당이 없다 보니 후보들의 선거운동도 당내 경선에 비해 현격히 떨어지고, 유권자들의 관심 또한 크지 않다.
그나마 ‘조국혁신당’ 출현으로 비례정당 투표에서 어느 정당에 투표할까에 대한 고민 정도를 하고 있을 뿐이다. 지역구의 경우 우리 지역이 아닌 당락을 알 수 없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수도권이나 충청권, 부산·경남 선거에 대한 관심을 더 갖고 있는 지역 유권자들이 많을 것이다.
이 같은 현상의 고착화는 역설적으로 지역 정치인이 정치지도자로 커 나가지 못하는 환경을 만들고 있는지도 모른다.
21대 총선에서 당선된 광주·전남 국회의원 중 22대 총선 후보에 6명에 불과하다. ‘현역 프리미엄’이란 이야기를 자주 하는데 현역들이 정치 신예라 할 수 있는 도전자들에게 경선에서 밀려 공천을 받지 못한 것이다. 공천 경쟁에서 살아남은 현역들의 면면을 보더라도 절반이 초선인 데다, 재선 의원 2명과 3선 의원 1명에 불과하다.
매 선거마다 당내 경선뿐 아니라 치열한 본선 무대를 거쳐 국회에 입성한 정치인과 달리 광주·전남이라는 온실 속 화초와 같은 환경에서 선거를 치른 지역 정치인의 체급이 다른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해 보이기도 하다.
재선, 3선 등 선서를 더해가더라도 지역 터줏대감에 그칠 뿐 중앙 정치무대에서 이렇다 할 정치적 역량을 발휘하지 못하는 허약함으로 인해 정치지도자가 되지 못하고 정치인에 머물러 있는 것처럼 보인다.
민주주의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선거를 통해 우리는 허약한 정치인만을 양산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볼 필요도 있어 보인다.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지역 정치지형을 탓하는데 그쳐서는 안된다. 정치권이 바뀌기를 기다릴 것이 아니라 유권자가 먼저 스스로 바꿔야 한다. 정치색을 떠나 4년 임기의 정치인이 아닌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질 정치지도자를 키워낼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IMF 위기를 극복하고 노벨평화상을 수상하는 등 세계적 민주지도자로 평가되고 있는 김대중 전 대통령 이후 우리 지역을 대표할만한 정치지도자를 찾아볼 수 없다.
매번 똑같은 투표로는 제2, 제3의 김대중이 나오는 것을 기대하기 어렵다.
광남일보@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