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표가 힘이다"…강기정 광주시장, 참여 운동 강조
시, 거소투표소 확대…사회적약자 참정권 보장 앞장
입력 : 2025. 05. 08(목) 19:17
강기정 광주시장이 8일 오후 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5월 정례조회’에 앞서 ‘광주시 투표참여 캠페인’ 일환으로 슬로건에 스티커를 붙이며 캠페인의 의미를 되새기고 있다. 사진제공=광주시
강기정 광주시장이 투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강기정 시장은 8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특별한 오월을 함께해요!’를 주제로 열린 ‘5월 정례조회’에서 “이번 45주년 5·18이 대선 정국의 한복판에 자리하면서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과 에너지가 광주에서 응집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 시장은 “지난 겨울 12·3 계엄의 밤을 뚫고 탄핵의 시간을 건너 시민의 힘으로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할 대선을 만들어냈다”며 “이번 대선은 갈라진 대한민국을 하나로 통합하는 선거이자, 무너진 경제를 다시 일으켜야 할 중요한 선거”라고 강조했다.

강 시장은 이어 “민주주의를 더 단단하게 만드는 일이야말로 민생경제를 살리고 대한민국 경제의 성장판을 여는 길”이라며 “그 승리를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이 투표이고, 또한 가장 중요한 일이 투표율을 끌어올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광주의 투표율은 지난 1987년 직선제 개헌 이후 7번의 대선(2007년 대선 제외)에서 전국 최고 수준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강 시장은 “이는 시대 변화를 갈망하는 시민들의 열망, 우리의 민주주의가 압도적으로 승리하기를 바라는 광주의 민심이 뚜렷하게 투영된 결과”라며 “투표율을 최대치로 끌어올리는 일이 새로운 대한민국을 여는 확실하고 유일한 길”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어 “공직자들은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는 것이 권리이기 이전에 의무라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며 “나아가 유권자들이 한 사람도 빠짐없이 투표하도록 독려하는 일 역시 공직자들이 해야 할 일”이라고 설명했다.

강 시장은 “현재 광주 유권자는 119만여 명으로, 이번 대선에서 광주가 가진 119만여 개의 꿈을 실현해야 한다”며 “광주가 또다시 마주한 역사의 고비 앞에서 다시 한번 대한민국의 역사를 혁명하는 중심이 되어 민주주의를 꽃피울 것”이라고 격려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이 8일 오후 시청 비즈니스룸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선거 거소투표 참여 약속’ 행사에 참석, 결의문 서약 후 지역 요양병원, 요양원 11곳 대표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광주시
한편 광주시는 6·3 대선을 앞두고 사회적 약자의 소중한 권리인 참정권 보장을 위해 지역 요양병원·요양원 등과 ‘거소투표 참여 운동’을 펼친다.

‘거소투표’는 유권자가 일정한 사유로 투표소에 직접 방문할 수 없는 경우 거주하는 곳에서 투표할 수 있는 제도다.

사전투표소나 투표소와 멀리 떨어진 영내 또는 함정에서 생활하는 군인·경찰공무원, 병원·요양소에 머물거나 수용소·교도소·구치소에 수용·수감된 사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규칙이 정하는 외딴 섬에 사는 사람, 기관·시설 또는 자가에서 치료 중이거나 격리 중인 사람 등이 대상이다.

거소투표 신고 대상자는 오는 10일까지 신고서를 작성해 주민등록이 있는 동 행정복지센터에 직접 제출하거나 우편(주민등록지 동 행정복지센터), 인터넷(주민등록지 관할 자치구 누리집)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단, 우편의 경우 10일 오후 6시까지 도착해야 한다.

거소투표 신고서는 동 행정복지센터에 비치돼 있다. 중앙선관위 누리집(www.nec.go.kr) ‘자료공간-각종 서식’에서 내려받으면 된다.

거소투표 신고인을 수용하고 있는 병원, 요양소, 수용소, 교도소, 구치소와 장애인 거주시설, 감염병 관리시설 등 각 기관·시설의 장은 오는 13일까지 관할 자치구 선거관리위원회에 거소투표 시설 신고를 해야 한다.

거소투표 신고인이 10명 이상인 수용 기관과 시설은 기표소를 의무설치하고, 10명 미만인 기관·시설은 기표소 설치를 요청하면 선관위에서 설치한다.
양동민 기자 yang00@gwangnam.co.kr
자치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