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빅데이터 전담 공무원 확충 시급
광역단체 중 광주 4명 ‘전국 유일’…기초단체도 열악
입력 : 2025. 10. 19(일) 16:22
본문 음성 듣기
정부가 ‘AI 기반 행정혁신’을 강조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지방자치단체 전문인력은 극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광역단체 중 데이터직 공무원이 있는 곳은 광주가 유일했으나 이마저도 제한적인 수준이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전북 익산을)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243개 지자체 전산직렬 공무원 4549명 가운데 데이터직류는 0.4%에 불과한 19명(광역 4명·기초 15명)에 그쳤다. AI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은 349명으로 7.6% 수준에 불과했다.

광역단체 중 데이터직 공무원이 있는 곳은 광주시가 유일했다. 광주의 경우 총 74명의 전산직렬 공무원 중 4명이 데이터직류에 속해있었다. 나머지 서울·경기·부산 등 광역단체에는 데이터직 공무원이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단체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전국 226곳의 기초단체에서 전산직렬에 속한 공무원 총 3192명 중 데이터직 공무원은 15명에 불과했다. 데이터직 공무원을 보유하고 있는 기초단체도 광주(3명), 충남(8명), 강원(3명), 전남(1명) 등 4개 지역뿐이었다.

현재 AI 관련 업무는 대부분 기존 전산직 공무원이 본연의 정보시스템 관리·보안 업무와 함께 겸직하는 형태로, 전산직의 7.6%인 349명이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자체들마다 “업무량 급증, 전문인력 부족, 보안·윤리 관리 강화, 역량 개발 미비 등으로 내년 AI 기본법 시행 대응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데이터직류는 2020년 신설돼 2023년부터 채용이 시작됐으나, 5년간 인력 확충은 지지부진한 상태다. 전문가들은 데이터직류가 빅데이터 분석에 특화된 반면, 전산직류는 범용형 인프라 관리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지자체들이 특화 직렬 공무원 채용에 소극적이라고 분석한다.

한병도 의원은 “사람 없는 AI 행정은 불가능하다. 현재처럼 전산직 공무원에게 AI 업무를 덧붙이는 방식은 한계가 명확하다”며 “데이터·AI 직무체계 개편 로드맵을 마련하고, 광역 단위 공동정원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
국회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