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골당 등 난개발에 생계 위협"
대봉감 주산지 영암 금정면 주민들 '신음'
12년전 무산됐다 재추진…주민들, 수확 미루고 반대투쟁
태양광 개발·고속道 공사도 악재…대봉감 악영향 우려
입력 : 2017. 10. 12(목) 19:29
12일 영암군 금정면 입구에 납골당 조성에 반대하는 현수막이 나부끼고 있다.
전국 대봉감 최대 주산지인 영암군 금정면 시골 마을이 ‘시끌시끌’하다.

12년 전 주민 반대로 무산된 사설 납골당 조성 사업이 최근 재추진되고 있고 금정면을 관통하는 강진~광주 구간 건설공사, 영암 태양광발전개발사업 등 대규모 개발행위가 집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생업을 위협받게 된 주민들은 벼 수확도 미룬 채 집단 반대투쟁을 벌이고 있다.

현재 주민들의 가장 큰 반발을 사고 있는 것은 청용리 일대(72만7272㎡)에 조성 예정인 납골당과 화장장 등을 기반으로 한 ‘세계웰다잉관광테마파크시설’이다.

이 문제는 지난 2006년부터 시작됐다.

당시 한 법인이 이 부지에 납골당 조성 사업을 추진했으나 지역 이미지 실추와 환경훼손 등을 이유로 주민들이 강력 반발, 결국 사업이 취소됐다.

하지만 올해 초부터 당시 갈등을 빚었던 법인 소속 임원이 또 다시 화장장 조성사업을 재추진하면서 주민들이 마을마다 반대 현수막을 내거는 등 격렬하게 맞서고 있다.

해당 임원은 “금정면과 테마파크 조성부지가 16㎞ 가량 떨어져 있고, 인근 5㎞ 이내 주민 동의를 모두 받았기 때문에 사업 추진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어서 갈등은 당분간 지속 될 전망이다.

또한 금정면 연소리 활성산 정상에 ‘태양광발전개발사업’ 추진을 놓고도 시끄럽다.

국내 한 기업이 연소리 320만㎡ 부지에 98㎿의 전력생산이 가능한 태양광 설치를 추진 중이다.

현재 기업 측은 사업부지를 중심으로 1㎞내 거주 주민들의 동의를 얻어 지난 7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사업 허가를 받았으며, 착공을 위해 영암군으로부터 개발행위 허가를 남겨놓고 있다.

하지만 사업에 동의한 이들 외에 남은 주민들이 발전소가 들어설 경우 전자파로 인해 지역 명물인 대봉감 생육에 지장을 줄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에 기업 측은 지난달 26일 주민 갈등 해소를 위해 사업 설명회를 열었고 양측은 이 자리에서 절충안을 찾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다른 골칫거리는 광주~완도간 고속도로 1단계 공사인 ‘강진~광주 구간 건설공사’다.

영암군 금정면 월평리~나주시 봉황면 오림리 7.30㎞ 구간(왕복 4차로)인 이 공사는 현재 환경영향평가를 통과한 상태다.

하지만 주민들은 “고속도로가 금정면의 중심을 가로지르게 설계돼 지역을 양분하고 자연훼손은 물론 차량 소음과 각종 분진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면서 “특히 생계수단인 대봉감 생육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고 공사 취소와 설계 변경까지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 7월 주민설명회에서 국도 23호선과 교차하는 토공부 인근에 나들목을 설치하고 환경피해 최소화 방안 등을 제시한 한국도로공사는 대다수 주민들과 타협점을 찾아가고 있지만 일부는 여전히 공사를 반대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정철 ㈔한국농업경영인 금정면협의회장은 “금정면이 직면한 각종 개발문제가 생계수단인 대봉감과 직결돼 있어 격렬한 반대투쟁에 나설 수 밖에 없다”며 “하루 빨리 안정화가 이뤄져 예전처럼 대봉감 생산에만 주력하고 싶은 게 주민들의 바람이다”고 말했다.
송대웅 기자 sdw0918@gwangnam.co.kr
지역일반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