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재개발·재건축 21곳 중 착공 불과 2곳 '장기 표류'
21곳 중 착공 2곳 ‘불과’…경기 악화·공사비 급등에 사업 차질
입력 : 2025. 10. 19(일) 13:58
본문 음성 듣기
가가
광주지역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대부분 착공 단계에조차 이르지 못한 채 장기 표류하고 있다. 부동산 경기 침체와 공사비 급등으로 사업성이 악화되면서 일부는 추진 동력을 완전히 상실한 상태다.
19일 광주시에 따르면 현재 지역 내에서 진행 중인 정비사업은 재개발 17곳, 재건축 4곳 등 모두 21곳이다. 이 가운데 공사가 실제로 진행 중인 곳은 동구 계림4 재개발과 북구 운암3단지 재건축 등 단 2곳에 불과하다.
계림4 재개발의 경우 2008년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15년이 지난 2023년에야 공사를 시작했다. 운암3단지 재건축도 2014년 구역 지정 후 착공까지 7년이 걸렸다.
나머지 대부분은 인허가 절차를 마치고도 여전히 첫 삽을 뜨지 못한 상태다. 재개발 5곳(광천동·학동4·양동3·누문·신가동), 재건축 1곳(방림삼일) 등 6곳은 관리처분계획 인가까지 마쳤지만, 실제 착공까지는 또다시 수년째 답보 상태다.
특히 광천동 재개발구역은 2012년 정비구역 지정 이후 11년 만인 2023년에 관리처분 인가를 받았으나, 아직 공사에 착수하지 못했다. 학동4구역 역시 2007년 지정 이후 2018년 인가까지 11년이 걸렸고, 2021년 철거건물 붕괴 참사 이후 사업이 사실상 멈춰 섰다.
누문동 재개발(뉴스테이 사업)은 2009년 지정 후 2020년 관리처분 인가를 받았지만, 보상 협의와 조합원 간 갈등이 이어지며 표류 중이다. 양동3·신가동 재개발구역도 각각 2022년, 2020년 인가를 받고도 착공하지 못하고 있다.
사업시행 인가(3곳), 조합설립(4곳), 추진위원회 구성(3곳), 정비구역 지정(3곳) 단계의 구역들도 뚜렷한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장기간 표류하는 사이 정비(예정)구역에서 해제된 사업지도 17곳(재개발 8곳, 재건축 9곳)에 달한다.
통상 재개발·재건축은 계획 수립에서 조합 청산까지 10년 이상 소요되지만, 최근 부동산 시장 침체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사업기간이 더 길어지는 추세다.
지역 건설업계 관계자는 “분양시장 자체가 위축돼 재개발 사업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중앙공원 등 민간공원 특례사업조차 분양이 부진한 상황에서 일반 정비사업은 더 큰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말했다.
19일 광주시에 따르면 현재 지역 내에서 진행 중인 정비사업은 재개발 17곳, 재건축 4곳 등 모두 21곳이다. 이 가운데 공사가 실제로 진행 중인 곳은 동구 계림4 재개발과 북구 운암3단지 재건축 등 단 2곳에 불과하다.
계림4 재개발의 경우 2008년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15년이 지난 2023년에야 공사를 시작했다. 운암3단지 재건축도 2014년 구역 지정 후 착공까지 7년이 걸렸다.
나머지 대부분은 인허가 절차를 마치고도 여전히 첫 삽을 뜨지 못한 상태다. 재개발 5곳(광천동·학동4·양동3·누문·신가동), 재건축 1곳(방림삼일) 등 6곳은 관리처분계획 인가까지 마쳤지만, 실제 착공까지는 또다시 수년째 답보 상태다.
특히 광천동 재개발구역은 2012년 정비구역 지정 이후 11년 만인 2023년에 관리처분 인가를 받았으나, 아직 공사에 착수하지 못했다. 학동4구역 역시 2007년 지정 이후 2018년 인가까지 11년이 걸렸고, 2021년 철거건물 붕괴 참사 이후 사업이 사실상 멈춰 섰다.
누문동 재개발(뉴스테이 사업)은 2009년 지정 후 2020년 관리처분 인가를 받았지만, 보상 협의와 조합원 간 갈등이 이어지며 표류 중이다. 양동3·신가동 재개발구역도 각각 2022년, 2020년 인가를 받고도 착공하지 못하고 있다.
사업시행 인가(3곳), 조합설립(4곳), 추진위원회 구성(3곳), 정비구역 지정(3곳) 단계의 구역들도 뚜렷한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장기간 표류하는 사이 정비(예정)구역에서 해제된 사업지도 17곳(재개발 8곳, 재건축 9곳)에 달한다.
통상 재개발·재건축은 계획 수립에서 조합 청산까지 10년 이상 소요되지만, 최근 부동산 시장 침체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사업기간이 더 길어지는 추세다.
지역 건설업계 관계자는 “분양시장 자체가 위축돼 재개발 사업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중앙공원 등 민간공원 특례사업조차 분양이 부진한 상황에서 일반 정비사업은 더 큰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