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재난 위기’ 선제 대응에 나서야
윤용성 사회교육부 기자
입력 : 2024. 09. 24(화) 18:32
윤용성 사회교육부 기자
[취재수첩] 지난 19~22일 광주·전남지역 일대에서는 이례적으로 ‘가을 물폭탄’이 쏟아졌다.

사흘간 400㎜가 넘는 강수량을 기록한 곳이 속출하면서 하천이 범람하고 차량이 침수되며 땅 꺼짐, 정전 사고 등의 피해가 잇따랐다. 산사태 등의 우려로 주민 700여명이 긴급 대피하기도 했다.

전남 장흥에서는 자활센터를 갔던 부인이 돌아올 시간에 맞춰 마을 입구로 마중을 갔던 80대 남편이 급류에 휩쓸려 실종됐다가 숨진 채 발견되는 인명피해도 발생했다.

농축산물 피해도 속출했고, 호우 피해 복구가 이뤄지면서 그 피해는 눈덩이만큼 커질 가능성이 높다.

앞서 올 여름에는 역대급 폭염과 열대야 등으로 고통을 겪었다.

최근 몇 년 사이 호우, 폭염 등 기후재난 피해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고 그 피해는 더욱 커지고 있다.

하지만 기후 재난을 제때 예측하기 힘들어 대비가 쉽지 않다. 정부의 기후재난에 대한 대응도 국민을 안심시키는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8월 헌법재판소는 정부가 2031년 이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아예 설정하지 않은 것은 환경권과 행복추구권 등 국민 기본권을 충분히 보호하지 못해 헌법에 어긋난다고 봤다.

심각한 기후위기 속에서 정부의 부실한 정책은 국민의 환경권 등을 침해한다고 판단하고 정부의 기후재난에 대한 책임감을 강조한 것이다.

피할 수 없는 재난이라 해도 철저히 대비한다면 피해는 줄일 수 있다.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더 깊이 인식하고 적극적인 선제 대응에 나서야 할 것이다.

다만 과거 기준에 맞춰진 대비책으로 선제 대응이 가능할 리 만무하다.

기후재난 대비책과 위기관리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새롭게 정립해야 할 시점이다.

정부와 각 지자체는 호우, 폭염 등 기후재난의 경고를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
취재수첩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