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다양한 인구정책 추진 효과 내길
여균수 주필
입력 : 2024. 02. 13(화) 18:17
[사설] 전남도가 신년부터 인구감소를 극복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전담 부서인 인구청년이민국을 신설하고 다양한 인구정책을 펼치고 있다.

전남도가 현재 지방소멸대응기금(4680억원)을 확보해 추진하고 있는 사업은 청년비전센터 조성,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 청년 창업지원, 세대어울림 복합센터 건립 등 13개 사업이다.

특히 비혼과 저출산의 주원인으로 꼽히는 과도한 주거비 부담을 덜어 청년과 신혼부부가 전남에 정착하도록 광역시·도 최초로 ‘전남형 만원주택’(1000호)을 건립하고 있다.

청년이 안정적으로 정착해 꿈을 펼치도록 호남청년 아카데미 운영, 광역 최초 청년부부 결혼 축하금 지원, 전남 청년 문화복지카드 지원, 청년 취업자 주거비 지원 등 청년 맞춤형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도 청년 일자리 사업, 예비창업자 사업화 자금 지원 등 청년 일자리 사업도 지원하고 있다.

또 저출생 극복을 위해 신혼부부 건강검진비 지원, 난임·우울증 상담센터 운영, 다둥이 가정 육아용품 구입비 지원,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등을 통해 출산과 양육 비용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도시민 유치와 귀농어귀촌인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전남에서 살아보기, 귀농어귀촌 어울림마을 조성, 우수 창업활성화 지원 등 10개 사업에 555억 원을 투입해 5만 명 이상을 전남에 유치할 예정이다.

지방소멸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이민정책도 적극적으로 펼칠 계획이다. 이민정책과를 설치하고 ‘출입국·이민관리청 전남 유치 전략 수립 용역’, ‘전남도 이민·외국인 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통해 전남 이민 정책의 밑그림을 그리는 중이다.

인구절벽에 처한 전남에서 인구 정책은 아무리 강조해조 지나침이 없다.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 감소는 지역경제 성장잠재력과 생산력을 크게 약화 시킨다. 인구가 곧 자치단체의 사활을 의미하는 마당에 인구 한 명이라도 늘리는 일이라면 무엇이라도 해야 할 판이다.

전남도가 전국 최초로 인구 전담부서인 인구청년이민국을 설치하고, 청년과 외국인 유치에 사활을 건 것은 인구가 곧 전남의 살길이기 때문이다.

올해 전남도가 추진할 각종 인구정책들이 효과를 냄으로써 활기가 넘치는 전남을 만들어주길 기대한다.
여균수 기자 dangsannamu1@gwangnam.co.kr
사설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