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세평] 교육청의 광주시민협치진흥원 설립을 응원하며
박병진 운남초 교감(교육학박사)
입력 : 2022. 11. 03(목) 10:00

박병진 운남초 교감(교육학박사)
한국교원대에서 전국 교사들이 함께하는 연수를 받고 있다. 마을과 학교가 서로 협치하는 내용과 관련하여 강의도 듣고 토론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연수를 통해 광주가 이러한 부분에서 매우 앞서 나가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특히 마을교육공동체 부분에서는 더더욱 그런 듯하다.
그동안 시청과 구청 그리고 교육청에서 많이 노력한 면도 있지만, 광주에는 마을교육에 헌신하려는 전문가와 활동가가 그만큼 많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아쉬운 것은 여러 지역에서 우수 사례로 발표하는 지방자치와 교육자치의 통합모델은 우리 광주가 뒤처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웃하고 있는 전남에서 순천풀뿌리교육자치협력센터를 만들어 시청과 교육청이 함께하는 우수 사례 발표가 있었다.시민들이 매월 ‘정담회’를 통해 지역의 교육 문제에 대한 의견을 모은 후, 시청 그리고 교육청과의 회의를 통해 바로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협력센터에는 교육청 직원도 파견되어 있다고 한다.
찾아보니 이러한 모범은 순천뿐 아니라 여러 지역에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이러한 형태의 협치 구조를 우리 광주에서도 서둘러야겠다고 생각했다.
최근 시교육청 새 교육감의 조직개편 방향이 보도됐다. 광주시민협치진흥원을 설립한다니 반갑고 고맙다.
보도에 의하면 “그동안 시민들의 관심이 높았던 광주시민협치진흥원 설립은 광주시민협치진흥원설립추진단을 발족하는 것으로 변경됐다”며 “광주시민협치진흥원 설립의 전 과정에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기관의 비전, 목표, 운영방안 등도 시민들과 함께 뜻을 모아 세워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고 한다.
우선 추진단을 만들어 차근차근 준비해 나간다니 이도 반갑다. 졸속으로 하지 않겠다는 것이고 또 시민들의 의견을 더 다양하게 반영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한다니 나도 몇 가지 의견을 적어보겠다.
먼저는 협치진흥원에서 추진하는 사업단 또는 위원회에 시민들이 자유롭게 참가할 수 있는 열린 구조가 됐으면 좋겠다.
둘째, 지방자치 단체와 교육자치 단체 간 연계하고 협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조직을 만들어 내야 한다.
이른바 통합교육센터나 협력센터가 만들어져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협력센터에는 교육청과 시·구청의 직원들이 파견되고, 활동에 필요한 예산도 주어져야 할 것이다. 물론 그렇게 구상하고 있겠지만 다시 한번 강조해 드리는 것이다.
셋째, 협력센터에서는 우선 돌봄 사업에 중심을 둬야 한다.
마을 돌봄 사업은, 학교와 지자체, 교사들과 마을 활동가, 마을 교육기관과 단체들의 이해 요구가 맞아떨어지는 사업이다. 이와 더불어 진로 체험 등 청소년 사업과, 마을교육공동체와 학교를 연결하는 플랫폼을 만드는 것도 꼭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대학과 시민을 연결하는 시민대학 등 평생교육 사업도 빠져서는 안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마을과 학교에 서로 도움이 되는, 다시 말하면 윈윈하는 사업을 먼저 추진해 줬으면 좋겠다.
협치는 시·구청과 교육청이 하는 것이지만, 구체적으로는 마을과 학교 간 교육공동체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학교는 마을과 연계하는 활동에 소극적인 경향을 지닌다. 우선 교사들은 수업 전문성에 대한 자신감과 다양한 분야와 내용에 대해서도 자체적으로 더 잘 운영할 수 있다는 생각을 지니고 있다.
또 마을과의 연계 활동이 새로운 업무 부담이 돼 교육과정 운영에 전념할 수 없게 될 수 있다는 생각도 하고 있다. 그리고 마을과의 연계 활동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이에 참여하는 강사들에 대한 검증과 학생 안전에 대해서도 우려를 한다.
그러므로 이들을 적극적으로 동참하게 하고 학교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마을과 학교가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사업부터 진행해야 한다.
초등학교의 경우 학교가 원하는 연계 지점은 돌봄과 방과후 지원이다. 그리고 온종일 돌봄은 학부모와 마을에서도 가장 관심을 가지는 사업이기도 하다.
이번 연수를 통해 광주가 이러한 부분에서 매우 앞서 나가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특히 마을교육공동체 부분에서는 더더욱 그런 듯하다.
그동안 시청과 구청 그리고 교육청에서 많이 노력한 면도 있지만, 광주에는 마을교육에 헌신하려는 전문가와 활동가가 그만큼 많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아쉬운 것은 여러 지역에서 우수 사례로 발표하는 지방자치와 교육자치의 통합모델은 우리 광주가 뒤처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웃하고 있는 전남에서 순천풀뿌리교육자치협력센터를 만들어 시청과 교육청이 함께하는 우수 사례 발표가 있었다.시민들이 매월 ‘정담회’를 통해 지역의 교육 문제에 대한 의견을 모은 후, 시청 그리고 교육청과의 회의를 통해 바로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협력센터에는 교육청 직원도 파견되어 있다고 한다.
찾아보니 이러한 모범은 순천뿐 아니라 여러 지역에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이러한 형태의 협치 구조를 우리 광주에서도 서둘러야겠다고 생각했다.
최근 시교육청 새 교육감의 조직개편 방향이 보도됐다. 광주시민협치진흥원을 설립한다니 반갑고 고맙다.
보도에 의하면 “그동안 시민들의 관심이 높았던 광주시민협치진흥원 설립은 광주시민협치진흥원설립추진단을 발족하는 것으로 변경됐다”며 “광주시민협치진흥원 설립의 전 과정에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기관의 비전, 목표, 운영방안 등도 시민들과 함께 뜻을 모아 세워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고 한다.
우선 추진단을 만들어 차근차근 준비해 나간다니 이도 반갑다. 졸속으로 하지 않겠다는 것이고 또 시민들의 의견을 더 다양하게 반영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한다니 나도 몇 가지 의견을 적어보겠다.
먼저는 협치진흥원에서 추진하는 사업단 또는 위원회에 시민들이 자유롭게 참가할 수 있는 열린 구조가 됐으면 좋겠다.
둘째, 지방자치 단체와 교육자치 단체 간 연계하고 협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조직을 만들어 내야 한다.
이른바 통합교육센터나 협력센터가 만들어져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협력센터에는 교육청과 시·구청의 직원들이 파견되고, 활동에 필요한 예산도 주어져야 할 것이다. 물론 그렇게 구상하고 있겠지만 다시 한번 강조해 드리는 것이다.
셋째, 협력센터에서는 우선 돌봄 사업에 중심을 둬야 한다.
마을 돌봄 사업은, 학교와 지자체, 교사들과 마을 활동가, 마을 교육기관과 단체들의 이해 요구가 맞아떨어지는 사업이다. 이와 더불어 진로 체험 등 청소년 사업과, 마을교육공동체와 학교를 연결하는 플랫폼을 만드는 것도 꼭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대학과 시민을 연결하는 시민대학 등 평생교육 사업도 빠져서는 안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마을과 학교에 서로 도움이 되는, 다시 말하면 윈윈하는 사업을 먼저 추진해 줬으면 좋겠다.
협치는 시·구청과 교육청이 하는 것이지만, 구체적으로는 마을과 학교 간 교육공동체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학교는 마을과 연계하는 활동에 소극적인 경향을 지닌다. 우선 교사들은 수업 전문성에 대한 자신감과 다양한 분야와 내용에 대해서도 자체적으로 더 잘 운영할 수 있다는 생각을 지니고 있다.
또 마을과의 연계 활동이 새로운 업무 부담이 돼 교육과정 운영에 전념할 수 없게 될 수 있다는 생각도 하고 있다. 그리고 마을과의 연계 활동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이에 참여하는 강사들에 대한 검증과 학생 안전에 대해서도 우려를 한다.
그러므로 이들을 적극적으로 동참하게 하고 학교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마을과 학교가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사업부터 진행해야 한다.
초등학교의 경우 학교가 원하는 연계 지점은 돌봄과 방과후 지원이다. 그리고 온종일 돌봄은 학부모와 마을에서도 가장 관심을 가지는 사업이기도 하다.
광남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