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균수 칼럼/ 아시안게임 공동유치
주필
입력 : 2022. 10. 30(일) 18:19

민선 7기 광주시와 대구시가 야심 차게 추진했던 2038년 아시안게임 공동유치가 민선 8기 들어서 휘청거리고 있다. 양 지역 일부 시민단체의 반대에 이어 지방의회의 동의를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
2038년 아시안게임 공동유치는 지난해 5월 26일 당시 이용섭 광주시장과 권영진 대구시장이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대회 공동 유치를 추진한다고 선언하면서 시작됐다. 두 시장은 당시 두 도시의 풍부한 국제대회 개최 경험을 살려 긴밀한 협조 체계를 구축한다는 업무 협약도 체결했다.
그리고 같은 해 11월 15일 대구에서 양 지역 시장과 국회의원, 지역사회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아시안게임 공동유치 준비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한다. 준비위는 이후 서명운동 등을 통해 공동유치 분위기를 확산시키기로 했으나 지방선거 후 단체장이 바뀌면서 사실상 활동을 멈췄다.
광주시와 대구시는 대회 유치를 위한 공동용역을 통해 지난 8월 최종용역을 완료해놓고도 공론화를 위해 당연히 가져야 할 대 시민보고회를 갖지 않았다. 이 점이 바로 새로 임기를 시작한 시장들이 아시안게임 공동유치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의 근거이기도 하다.
광주시와 대구시는 대신 대회유치 신청계획서 제출을 위한 필수요건인 지방의회 동의안을 받고자 각 지방의회에 동의안을 요구했다.
하지만 대구시의회 상임위는 공동유치동의안 심의를 유보한 데 이어 광주시의회도 지난 18일 본회의 상정을 보류하고 말았다. 의원들은 심의보류 이유로 공론화 절차 미흡과 막대한 재정 부담 등을 들었다.
앞서 광주참여연대와 대구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들은 잇따라 성명을 통해 개최효과가 불투명해 재정낭비가 우려된다는 이유로 아시안게임 공동유치를 반대했다.
민선 7기에서 아무런 목소리를 내지 않던 시민단체와 지방의회가 민선 8기 들어 뒤늦게 반대입장을 보이자 일부 언론에선 전임시장들의 사업을 마뜩잖게 여기는 새 시장들의 입김이 작용하지 않았느냐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광주시의회는 동의의 조건으로 공동유치 준비위원회 재구성과 시민 여론조사 실시, 합동 공청회 등을 제시했다. 일부 시민단체는 최근에도 성명 등을 통해 재정낭비를 우려하며 신청서 제출에 앞서 충분한 공론화 과정을 거쳐 달라고 거듭 주장했다.
사실 민선 7기에서 시작한 아시안게임 공동유치는 민선 8기의 시장들이 뜻을 같이해주지 않으면 동력을 얻기 힘들다.
이와 관련해 새 시장들은 최근 잇따라 공동유치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적극 피력함으로써 의혹을 불식시켰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난 20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아시안게임 공동유치에 대한 더불어민주당 이형석 의원의 질의에 “부시장끼리 논의하고 필요하면 홍준표 시장을 만나겠다”고 답했다.
앞서 홍준표 대구시장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광주시의회에서 동의안이 통과되면 대구시의회에서도 문제가 없도록 추진하겠다”고 글을 올렸다.
광주시와 대구시는 다음달 중 시의회와 시민단체 등을 대상으로 아시안게임 유치 사전타당성 조사용역 보고회를 통해 공론화 과정을 거친 후 시의회에 유치 동의안을 다시 제출할 계획이다. 뒤늦게나마 절차를 밟겠다는 것이다.
다행히 개최희망 도시가 아직까지 광주·대구를 제외하곤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신청서 제출이 다소 늦어지더라도 상관없다고 한다. 시간에 너무 구애받을 일이 아닌 것이다. 지금부터 사업타당성에 대한 충분한 공론화 절차를 거치면 된다.
지난 8월에 나온 용역결과를 보면 아시안게임 공동유치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는 4조2221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1조9508억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 4만3819명의 일자리 창출효과를 냈다. 광주와 대구지역으로만 국한시키면 생산유발효과 2조8727억원에 부가가치유발효과 1조4146억원, 일자리창출 3만5098명 등이다.
애초 두 도시가 공동개최를 추진한 이유는 도시 브랜드 가치 향상과 달빛고속철도 등 사회적 간접자본 확충, 그리고 동서화합이란 큰 그림을 완성하기 위함이다.
지원될 국비 등을 제외하면 광주시가 부담해야 할 순수 개최비용은 2800억원 대라고 한다. 이 정도의 재정 부담으로 도시 이미지 제고와 막대한 경제적 효과를 낸다면 개최함이 마땅하지 않나 싶다.
2038년 아시안게임 공동유치는 지난해 5월 26일 당시 이용섭 광주시장과 권영진 대구시장이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대회 공동 유치를 추진한다고 선언하면서 시작됐다. 두 시장은 당시 두 도시의 풍부한 국제대회 개최 경험을 살려 긴밀한 협조 체계를 구축한다는 업무 협약도 체결했다.
그리고 같은 해 11월 15일 대구에서 양 지역 시장과 국회의원, 지역사회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아시안게임 공동유치 준비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한다. 준비위는 이후 서명운동 등을 통해 공동유치 분위기를 확산시키기로 했으나 지방선거 후 단체장이 바뀌면서 사실상 활동을 멈췄다.
광주시와 대구시는 대회 유치를 위한 공동용역을 통해 지난 8월 최종용역을 완료해놓고도 공론화를 위해 당연히 가져야 할 대 시민보고회를 갖지 않았다. 이 점이 바로 새로 임기를 시작한 시장들이 아시안게임 공동유치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의 근거이기도 하다.
광주시와 대구시는 대신 대회유치 신청계획서 제출을 위한 필수요건인 지방의회 동의안을 받고자 각 지방의회에 동의안을 요구했다.
하지만 대구시의회 상임위는 공동유치동의안 심의를 유보한 데 이어 광주시의회도 지난 18일 본회의 상정을 보류하고 말았다. 의원들은 심의보류 이유로 공론화 절차 미흡과 막대한 재정 부담 등을 들었다.
앞서 광주참여연대와 대구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들은 잇따라 성명을 통해 개최효과가 불투명해 재정낭비가 우려된다는 이유로 아시안게임 공동유치를 반대했다.
민선 7기에서 아무런 목소리를 내지 않던 시민단체와 지방의회가 민선 8기 들어 뒤늦게 반대입장을 보이자 일부 언론에선 전임시장들의 사업을 마뜩잖게 여기는 새 시장들의 입김이 작용하지 않았느냐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광주시의회는 동의의 조건으로 공동유치 준비위원회 재구성과 시민 여론조사 실시, 합동 공청회 등을 제시했다. 일부 시민단체는 최근에도 성명 등을 통해 재정낭비를 우려하며 신청서 제출에 앞서 충분한 공론화 과정을 거쳐 달라고 거듭 주장했다.
사실 민선 7기에서 시작한 아시안게임 공동유치는 민선 8기의 시장들이 뜻을 같이해주지 않으면 동력을 얻기 힘들다.
이와 관련해 새 시장들은 최근 잇따라 공동유치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적극 피력함으로써 의혹을 불식시켰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난 20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아시안게임 공동유치에 대한 더불어민주당 이형석 의원의 질의에 “부시장끼리 논의하고 필요하면 홍준표 시장을 만나겠다”고 답했다.
앞서 홍준표 대구시장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광주시의회에서 동의안이 통과되면 대구시의회에서도 문제가 없도록 추진하겠다”고 글을 올렸다.
광주시와 대구시는 다음달 중 시의회와 시민단체 등을 대상으로 아시안게임 유치 사전타당성 조사용역 보고회를 통해 공론화 과정을 거친 후 시의회에 유치 동의안을 다시 제출할 계획이다. 뒤늦게나마 절차를 밟겠다는 것이다.
다행히 개최희망 도시가 아직까지 광주·대구를 제외하곤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신청서 제출이 다소 늦어지더라도 상관없다고 한다. 시간에 너무 구애받을 일이 아닌 것이다. 지금부터 사업타당성에 대한 충분한 공론화 절차를 거치면 된다.
지난 8월에 나온 용역결과를 보면 아시안게임 공동유치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는 4조2221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1조9508억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 4만3819명의 일자리 창출효과를 냈다. 광주와 대구지역으로만 국한시키면 생산유발효과 2조8727억원에 부가가치유발효과 1조4146억원, 일자리창출 3만5098명 등이다.
애초 두 도시가 공동개최를 추진한 이유는 도시 브랜드 가치 향상과 달빛고속철도 등 사회적 간접자본 확충, 그리고 동서화합이란 큰 그림을 완성하기 위함이다.
지원될 국비 등을 제외하면 광주시가 부담해야 할 순수 개최비용은 2800억원 대라고 한다. 이 정도의 재정 부담으로 도시 이미지 제고와 막대한 경제적 효과를 낸다면 개최함이 마땅하지 않나 싶다.
여균수 기자 dangsannamu1@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