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80주년' 광주를 빛낸 이름 없는 별들 조명
27일 오후 1시 광주시청 2층 무등홀
양진여 의병장·정광호 등 발굴·발표
양진여 의병장·정광호 등 발굴·발표
입력 : 2025. 11. 25(화) 15:50
본문 음성 듣기
가가
한국학호남진흥원(원장 홍영기)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광주를 빛낸 역사 인물들의 삶과 정신을 재조명하고 선양하는 학술대회를 연다.
한국학호남진흥원은 27일 오후 1시 광주시청 2층 무등홀에서 ‘이름 없는 별들, 다시 빛나다’라는 주제로 광복 80주년 기념 학술대회를 갖는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이정선 교수(이정선)가 ‘광주다운 역사 인물 선양사업의 방향과 목표’를 주제로 기조발표를 하며, 노성태 원장(남도역사연구원)이 ‘양진여 의병장의 생애와 의병 활동’을, 현대사회연구소 안종철 소장이 ‘최종섭의 항일 독립운동’을, 신주백 교수(연세대 국학연구원)가 ‘광주·전남의 근현대사와 정광호’를 각각 발표한다.
먼저 노성태 원장은 을사늑약 이후 전남 유림과 농민을 규합해 항일 의병을 일으킨 양진여 의병장의 생애와 활동을 다룬다. 양진여는 전남 내륙 의병 봉기의 핵심 지도자로서 호남 의병사의 중요한 축을 이룬 인물이다.
이어 안종철 소장은 지역 청년들을 규합해 비밀결사와 계몽운동을 전개하며 독립운동의 내적 기반을 강화한 최종섭의 항일 활동을 발표한다. 최종섭은 군자금 모집, 인재 양성, 항일 네트워크 구축 등 다층적 활동을 펼친 실천적 독립운동가로 평가된다.
마지막으로 신주백 교수는 항일운동과 교육·문화운동을 아우르며 광주·전남 근현대사의 정체성 형성에 기여한 정광호의 생애를 조명한다. 정광호는 지역사 기록과 증언을 남긴 ‘광주 근현대사의 핵심 기억자’로, 지역사 연구의 필수적 인물로 꼽힌다.
홍영기 원장은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시민과 학생, 연구단체가 함께 호남의 역사와 정체성을 공유하고 지역민의 자긍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학호남진흥원은 지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광주다운 역사 인물 발굴 사업’을 추진하여 광주·전남 지역 역사 인물 4000여 명을 발굴했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학호남진흥원 홈페이지(https://www.hiks.or.kr)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문의 062-603-9622.
한국학호남진흥원은 27일 오후 1시 광주시청 2층 무등홀에서 ‘이름 없는 별들, 다시 빛나다’라는 주제로 광복 80주년 기념 학술대회를 갖는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이정선 교수(이정선)가 ‘광주다운 역사 인물 선양사업의 방향과 목표’를 주제로 기조발표를 하며, 노성태 원장(남도역사연구원)이 ‘양진여 의병장의 생애와 의병 활동’을, 현대사회연구소 안종철 소장이 ‘최종섭의 항일 독립운동’을, 신주백 교수(연세대 국학연구원)가 ‘광주·전남의 근현대사와 정광호’를 각각 발표한다.
먼저 노성태 원장은 을사늑약 이후 전남 유림과 농민을 규합해 항일 의병을 일으킨 양진여 의병장의 생애와 활동을 다룬다. 양진여는 전남 내륙 의병 봉기의 핵심 지도자로서 호남 의병사의 중요한 축을 이룬 인물이다.
이어 안종철 소장은 지역 청년들을 규합해 비밀결사와 계몽운동을 전개하며 독립운동의 내적 기반을 강화한 최종섭의 항일 활동을 발표한다. 최종섭은 군자금 모집, 인재 양성, 항일 네트워크 구축 등 다층적 활동을 펼친 실천적 독립운동가로 평가된다.
마지막으로 신주백 교수는 항일운동과 교육·문화운동을 아우르며 광주·전남 근현대사의 정체성 형성에 기여한 정광호의 생애를 조명한다. 정광호는 지역사 기록과 증언을 남긴 ‘광주 근현대사의 핵심 기억자’로, 지역사 연구의 필수적 인물로 꼽힌다.
홍영기 원장은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시민과 학생, 연구단체가 함께 호남의 역사와 정체성을 공유하고 지역민의 자긍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학호남진흥원은 지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광주다운 역사 인물 발굴 사업’을 추진하여 광주·전남 지역 역사 인물 4000여 명을 발굴했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학호남진흥원 홈페이지(https://www.hiks.or.kr)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문의 062-603-9622.
정채경 기자 view2018@gwangnam.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