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발사대 기립…우주 향해 ‘우뚝’
엄빌리칼 연결 등 핵심 점검 진행
27일 0시 55분 4차 발사 준비 순조
26일 저녁∼27일 새벽 해상 통제
입력 : 2025. 11. 25(화) 18:55
본문 음성 듣기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25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4차 발사를 위한 기립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25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4차 발사를 위한 기립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25일 발사대에 우뚝 섰다.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이날 오후 1시 36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 발사대 기립 및 고정작업이 완료됐다고 밝혔다.

앞서 누리호는 이날 오전 9시 누리호 무인특수이동차량(트랜스포터)에 실려 나로우주센터 내 발사대 종합조립동에서 출발했다.

당초 누리호는 오전 7시 40분 발사대 이송 예정이었지만, 오전 8시경 비 예보로 일정이 1시간 20분 늦어졌다.

이어 약 1시간 42분에 걸쳐 1.8㎞를 이동해 제2발사대까지 이동했다.

누리호는 기립 장치인 ‘이렉터’에 실려 발사패드에 수직으로 세워진 뒤 발사대에 고정됐다.

누리호의 하부는 4개의 고리가 달린 지상고정장치(VHD)를 이용해 단단히 고정된다. 이 장치는 누리호 발사 직전 엔진이 최대 추력에 도달하면 고정을 해제한다.

이후로는 누리호에 전원 및 추진제(연료, 산화제) 등을 공급하기 위한 엄빌리칼 연결 및 기밀점검 등 발사 준비 작업을 수행한다.

준비가 순조롭다면 25일 늦게라도 누리호 발사대 설치 작업이 끝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기상 상황에 따라 일정은 변경될 수 있다. 예정된 작업이 모두 끝나지 못할 경우, 26일 오전 추가 작업을 해야 한다.

하지만 일정을 조정해서라도 예정된 발사 시각인 27일 오전 0시 54분에서 1시 14분 사이를 엄수하겠다고 우주청과 항우연은 강조했다.

26일부터는 실제 발사 운용 단계에 돌입하게 된다. 발사체 전자장비의 외부 전원 인가 및 점검, 추진제 및 헬륨 충전 등을 위한 점검이 이뤄진다.

이후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26일 오후 늦게 발사 관리위원회를 열고 그간의 점검 상황 및 기상 상황을 반영, 누리호 추진제 충전을 결정한다. 이후 최종 발사 시각을 확정한다.

한편, 누리호 4차 발사를 전후해 고흥 나로우주센터 주변 해상의 선박 운항이 전면 통제된다.

여수해양경찰서에 따르면 발사 2시간 전부터 발사 후 10분까지 발사대 주변 해상, 발사체 비행 방향 해역 내 선박 진입이 차단된다. 통제구역은 나로우주센터 발사대 중심으로 반경 3㎞ 앞바다와 누리호 비행 항로상에 있는 폭 24㎞, 길이 78㎞ 해상이다.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 고흥=김두성 기자 kds081177@gwangnam.co.kr
경제일반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