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용규 의원, 영락공원 착오 안치 사고 등 질타
관리·감독 붕괴 결과…"복지행정 기본 다시 세워야"
입력 : 2025. 11. 04(화) 16:35
본문 음성 듣기
서용규 광주시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4일 광주 영락공원에서 발생한 자연장 착오 안치 및 타인 분묘 오개장 사고를 질타했다.

서 의원에 따르면 지난 8월 30일 광주 영락공원에서 고인의 유골이 잘못된 묘역에 안치된 자연장 안장 착오 사건이 발생했으나, 9월 19일에야 사과문이 게시됐다.

또 지난 6월 6일 타인의 분묘 파묘 화장 사건이 발생했지만, 10월 5일 유족 민원 제기로 뒤늦게 드러났다.

서 의원은 “공공이 시민의 마지막 예우를 잘못 관리한 사건으로, 광주시 복지건강국이 책임부서이자 장사시설의 관리·감독 주체임에도 현장 점검이나 운영 실태 보고를 정기적으로 받았는지, 또 진정성 있는 사과도 미비했다”며 “이는 단순 실수가 아닌 행정 신뢰의 붕괴이자, 고인의 존엄을 훼손한 명백한 관리 실패다”고 주장했다.

서 의원은 자연장 안장 관련 “도시공사 특정 감사 결과, 팀장 ‘경고’, 관리 PL ‘경징계’, 담당자 ‘중징계’로 종결됐지만, 관리·감독 책임을 가진 복지건강국의 내부 책임은 전무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매년 수천 건의 개장 화장과 수백 건의 개장이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지난 10월 29일 기준 개장화장 2041건, 개장 320건에 달해 관리감독 체계는 서류 위주가 아닌 현장 중심의 관리체계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복지건강국이 ‘GPS 기반 스마트 묘역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겠다고 하는데, 이는 단순 기술 도입이 아니라 공공의 책임성을 회복하는 행정개혁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며 “복지건강국은 이제라도 책임 있는 현장 중심의 관리·감독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지방의회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