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미정 "돌봄노동, 여전히 시급제의 벽에 갇혀"
공공이 책임지는 돌봄체계 전환해야 광주다움 완성
입력 : 2025. 11. 04(화) 14:25
본문 음성 듣기
박미정 광주시의원(더불어민주당·동구2)은 4일 복지건강국 행정사무감사에서 “돌봄노동은 단순한 서비스가 아니라 시민의 삶을 지탱하는 공공의 안전망”이라며 “시간제·시급 중심의 고용 구조로는 돌봄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공공성을 위해 설립된 사회서비스원이 돌봄노동자를 단기계약에 의존시키는 건 제도 취지에 어긋난다”며 “돌봄은 복지의 최전선이지 단순히 시장논리로 접근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복지건강국 자료에 따르면 돌봄관리사는 월평균 94.6시간 근무에 급여는 약 147만원 수준이다. 이동·대기시간이 근로시간에서 제외돼 실질 소득이 낮고, 돌봄 공백기엔 수입이 절반 이하로 줄어든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 의원은 “광주시 생활임금 270만원에 못 미치는 돌봄노동자 임금은 정책 모순”이라며 “복지건강국이 생활임금 보장과 안정적 계약제, 전문인력화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박 의원은 “2월 간담회 이후 사회서비스원이 제도 일부를 개선한 것은 긍정적”이라며 “월 60시간 근로보장, 이동수당 현실화, 고난이도 사례 2인 1조, 65세 근로연장제 도입 등이 현장요구를 반영한 노력”이라고 평가했다.

박 의원은 “부분적 개선을 넘어 돌봄노동이 생계 가능한 일자리로 자리 잡도록 구조를 개편해야 한다”며 “‘광주다움 돌봄’은 공공 책임으로 접근할 때 완성된다”고 강조했다.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지방의회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