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과학기술원 2026 수시모집 경쟁률 15.49대 1
면접 중심 선발임에도 최근 5년간 지원자 62% 증가
입력 : 2025. 10. 22(수) 09:25
본문 음성 듣기
광주과학기술원 정문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2026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정원 내 기준 15.49대 1(215명 모집, 3331명 지원)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보다 지원자가 12.8%(377명) 증가한 것으로, 경쟁률 역시 상승(작년 13.74:1)했다.

최근 5년간 수시모집 지원자 수 추이를 보면, 2022학년도 2048명에서 2026학년도 3331명으로 62.6% 증가했다.

같은 기간 경쟁률도 2022학년도 11.38대 1에서 2026학년도 15.49대 1로 상승세를 보였다.

올해 수시모집의 전형별 경쟁률은 △고른기회전형 22.6대 1(15명 모집, 339명 지원) △특기자전형 17.5대 1(10명 모집, 175명 지원) △학교장추천전형 14.55대 1(40명 모집, 582명 지원) △일반전형 12.64대 1(150명 모집, 1,896명 지원)로, 모든 전형에서 지난해보다 경쟁률이 상승했다.

GIST 입학팀 관계자는 “전형 체계의 큰 변화 없이도 지원자가 고르게 늘었으며, 특히 학교장추천전형과 일반전형에서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GIST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와 함께 특별법에 따라 수시모집 6회 지원 제한에서 제외되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으로, 복수지원이 가능한 점이 경쟁률 상승의 한 요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4대 과기원 중 GIST만 모든 전형에서 면접을 실시하고 있음에도 지원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이수정 입학학생처장은 “면접이 수험생에게 심리적 부담이 크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그러나 GIST는 학생의 열린 사고와 태도를 직접 보고, 숫자로 드러나지 않는 성장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철학에 공감하는 수험생이 늘면서 경쟁률 상승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편 GIST는 올해 2월 학사조직 개편을 통해 학사과정 1학년 신입생 교육을 위한 ‘도전탐색과정’을 신설했다.

GIST의 모든 신입생은 도전탐색과정 소속으로 입학해 △수학·컴퓨터 프로그래밍·생물학·물리학·화학 등 기초과학 △언어, 소프트웨어, 예체능, 세미나 등 5개 필수 영역 △철학·법학·경제학·역사학·정치학 등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선택 영역을 탐색한다. 이후 2학년 진학 시 ‘전공 선언(major declaration)’을 통해 비로소 자신의 전공을 선택하게 된다.

이는 단순히 융합형 인재 양성을 넘어, 인문·사회과학적 사유와 실천을 바탕으로 과학기술의 방향성을 성찰하는 인재를 키우려는 GIST의 교육철학이 반영됐다.

GIST는 2026학년도 수시모집 서류전형 합격자를 23일 오후 6시에 발표한다. 면접전형(10월 30~31일)을 거쳐 오는 12월12일 최종합격자를 발표한다.
김인수 기자 joinus@gwangnam.co.kr
교육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