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전기이륜차 대중화 ‘시동’
KS규격 표준형 충전방식 도입…충전시설 50기 확충
입력 : 2025. 10. 19(일) 12:07
본문 음성 듣기
가가
광주시가 전기이륜차 이용 활성화를 위해 올해 말까지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50기를 구축한다.
시는 지난해 12월 ‘전기이륜차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공모를 통해 LG에너지솔루션(쿠루)을 보조사업자로 선정하고, 사업비 1억원을 투입해 17기의 충전시설을 우선 설치했다. 이 시설은 지난 16일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보조사업자인 LG에너지솔루션(쿠루)은 환경부 공모사업을 통해 20기의 충전시설을 추가 구축했으며, 연말까지 13기를 더 설치해 총 50기의 충전시설을 완비할 계획이다.
이번에 구축된 충전시설은 특정 제조사에 한정된 기존 방식과 달리, 한국산업표준(KS) 규격을 적용한 표준형 충전시설이다. 이에 따라 향후 출시되는 표준형 전기이륜차와도 호환이 가능해 이용 편의성이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운영 방식도 간편하다. 사용자는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시설에 넣고 완충된 배터리로 교체하면 되며, 교환 시간은 30초 이내로 짧다. 마치 자판기처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시는 이번 충전 인프라 확충을 통해 배달용 내연기관 이륜차 운행으로 인한 주택가 대기오염과 소음 문제를 줄이는 한편, 2045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도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또한 전기이륜차 보급 확대를 위해 올해 총 130대에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차량 유형과 성능에 따라 최대 △경형 140만원 △소형 230만원 △중형 270만원 △대형 300만원까지 차등 지급된다.
이와 함께 소상공인, 장애인, 차상위계층, 농업인 등 취약계층이 전기이륜차를 구입할 경우 보조금의 20%, 배달용 차량의 경우 10%를 추가 지원한다. 단, 취약계층과 배달용 차량에 대한 추가 지원은 중복 적용되지 않는다.
나병춘 기후대기정책과장은 “산업표준형 충전시설 도입으로 시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전기이륜차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며 “친환경 교통수단 보급 확대에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시는 지난해 12월 ‘전기이륜차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공모를 통해 LG에너지솔루션(쿠루)을 보조사업자로 선정하고, 사업비 1억원을 투입해 17기의 충전시설을 우선 설치했다. 이 시설은 지난 16일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보조사업자인 LG에너지솔루션(쿠루)은 환경부 공모사업을 통해 20기의 충전시설을 추가 구축했으며, 연말까지 13기를 더 설치해 총 50기의 충전시설을 완비할 계획이다.
이번에 구축된 충전시설은 특정 제조사에 한정된 기존 방식과 달리, 한국산업표준(KS) 규격을 적용한 표준형 충전시설이다. 이에 따라 향후 출시되는 표준형 전기이륜차와도 호환이 가능해 이용 편의성이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운영 방식도 간편하다. 사용자는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시설에 넣고 완충된 배터리로 교체하면 되며, 교환 시간은 30초 이내로 짧다. 마치 자판기처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시는 이번 충전 인프라 확충을 통해 배달용 내연기관 이륜차 운행으로 인한 주택가 대기오염과 소음 문제를 줄이는 한편, 2045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도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또한 전기이륜차 보급 확대를 위해 올해 총 130대에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차량 유형과 성능에 따라 최대 △경형 140만원 △소형 230만원 △중형 270만원 △대형 300만원까지 차등 지급된다.
이와 함께 소상공인, 장애인, 차상위계층, 농업인 등 취약계층이 전기이륜차를 구입할 경우 보조금의 20%, 배달용 차량의 경우 10%를 추가 지원한다. 단, 취약계층과 배달용 차량에 대한 추가 지원은 중복 적용되지 않는다.
나병춘 기후대기정책과장은 “산업표준형 충전시설 도입으로 시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전기이륜차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며 “친환경 교통수단 보급 확대에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