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서 PM 교통사고 매년 150여건
최근 3년간 총 443건 발생…사망 4명·부상 496명
무면허 운전 속출…"지자체 협력·규제 마련 시급"
입력 : 2025. 09. 02(화) 18:17
본문 음성 듣기
광주·전남지역에서 연평균 150여건에 이르는 개인형 이동장치(PM)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2~2024년) 광주·전남지역에서 발생한 개인형 이동장치(PM) 교통사고 건수는 총 443건(광주 279건·전남 164건)이다.

연도별로는 2022년 170건(광주 92건·전남 78건), 2023년 144건(광주 111건·전남 33건), 지난해 129건(광주 76건·전남 53건) 등으로 집계됐다.

해마다 반복되는 PM 교통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도 잇따르고 있다.

같은 기간 496명(광주 307명·전남 189명)이 PM 교통사고로 인해 부상을 입었고, 4명(광주 1명·전남 3명)은 목숨을 잃었다.

전국적으로도 매년 2400여건의 PM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2022년 2386건, 2023년 2389건, 지난해 2232건으로 최근 3년간 총 7007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해 7865명의 사상자(부상 7792명, 사망 73명)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무면허 운전으로 인한 PM 교통사고 건수는 2022년 1127건에서 2023년 1148건, 지난해 1167건으로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체 PM 교통사고의 절반 수준(49%)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운전자를 연령대별로는 15세 이하 1441명, 16세~19세 1648명, 20대 1783명, 30대 790명, 40대 524명, 50대 414명, 60대 201명, 70세 이상 168명, 불명 78명으로 사고를 낸 운전자의 44%가 19세 이하 청소년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개인형 이동장치 업체의 면허검증시스템을 의무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정현 의원은 “자유업에 속하는 개인형 이동장치 업체는 지자체에 별도의 신고나 등록이 필요 없어 안전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상황이다”며 “관련 사고의 절반 가량이 무면허 사고인 만큼 업체의 면허검증시스템을 의무화하고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한 규제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
사회일반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