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쓰레기 소각장 갈등…함께 사는 미덕 해법
임정호 지역사회부 부국장
입력 : 2025. 08. 17(일) 17:25
본문 음성 듣기
가가
임정호 지역사회부 부국장
쓰레기 소각장 입지 선정을 두고 지역 주민과 행정당국 간 갈등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우리 동네에는 안 된다’는 지역 이기주의가 작동하기 때문이다.
광주 광산구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현재 광역자원회수시설 최종 후보지로 결정된 삼거동 인근 주민들의 반발이 극에 달하고 있다. 최근 삼도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열릴 예정이던 주민설명회가 무산된 것은 고사하고 담당 공무원이 폭행당하는 ‘촌극’도 발생했다.
그러나 이런 행동은 너무 무책임하다. ‘그저 내 앞마당만 지키겠다’는 태도는 공동체적 책임을 저버린 것이기 때문이다.
탄소중립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광역자원회수시설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전국 광역시 중 소각장이 없는 도시는 광주가 유일하다.
1960~1970년대식 매립은 이미 한계다. 악취, 토양·지하수 오염뿐 아니라 부지 확보도 불가능하다. 여기에 생활쓰레기를 바로 매립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이 2030년 시행된다.
다만 주민들의 우려도 상당부분 설득력이 있는 만큼, 행정당국도 적절한 보상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해당 지역의 주민들을 위한 일자리 사업 혹은 숙원사업 해결, 복지정책 등을 통해 가려운 부분을 긁어줘야 한다. 나아가 조례, 규칙 등 제도화도 추진해야 한다.
최신 소각장 기술은 과거와 달리 악취와 오염을 최소화하고, 지역 난방과 전력 생산에 기여할 수 있다. 소각장이 주거지역과 공존하며 문화시설과 결합된 사례도 많다.
이런 사실을 주민이 직접 확인하고 납득할 수 있는 절차를 밟아 오해와 갈등을 불식시켜야 한다. 그래야 주민들이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아울러 모두가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분담하는 분위기도 조성돼야 한다. 누군가의 희생 위에 편안함을 누리는 구조는 오래갈 수 없다는 점을 명심하자. 그래야 ‘쓰레기소각장, 두 팔 벌려 환영한다’는 마을 어귀에 플래카드가 걸릴 수 있다.
광주 광산구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현재 광역자원회수시설 최종 후보지로 결정된 삼거동 인근 주민들의 반발이 극에 달하고 있다. 최근 삼도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열릴 예정이던 주민설명회가 무산된 것은 고사하고 담당 공무원이 폭행당하는 ‘촌극’도 발생했다.
그러나 이런 행동은 너무 무책임하다. ‘그저 내 앞마당만 지키겠다’는 태도는 공동체적 책임을 저버린 것이기 때문이다.
탄소중립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광역자원회수시설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전국 광역시 중 소각장이 없는 도시는 광주가 유일하다.
1960~1970년대식 매립은 이미 한계다. 악취, 토양·지하수 오염뿐 아니라 부지 확보도 불가능하다. 여기에 생활쓰레기를 바로 매립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이 2030년 시행된다.
다만 주민들의 우려도 상당부분 설득력이 있는 만큼, 행정당국도 적절한 보상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해당 지역의 주민들을 위한 일자리 사업 혹은 숙원사업 해결, 복지정책 등을 통해 가려운 부분을 긁어줘야 한다. 나아가 조례, 규칙 등 제도화도 추진해야 한다.
최신 소각장 기술은 과거와 달리 악취와 오염을 최소화하고, 지역 난방과 전력 생산에 기여할 수 있다. 소각장이 주거지역과 공존하며 문화시설과 결합된 사례도 많다.
이런 사실을 주민이 직접 확인하고 납득할 수 있는 절차를 밟아 오해와 갈등을 불식시켜야 한다. 그래야 주민들이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아울러 모두가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분담하는 분위기도 조성돼야 한다. 누군가의 희생 위에 편안함을 누리는 구조는 오래갈 수 없다는 점을 명심하자. 그래야 ‘쓰레기소각장, 두 팔 벌려 환영한다’는 마을 어귀에 플래카드가 걸릴 수 있다.
임정호 기자 ljh4415@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