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전남도청에 ‘보도검열관실’ 복원 안 된다
복원추진단 대국민설명회 "공사 일정상 설치 불가능"
자료수집·검증시간 필요…향후 관련 비용 확보 계획
자료수집·검증시간 필요…향후 관련 비용 확보 계획
입력 : 2025. 05. 28(수) 18:35

28일 오후 광주 전일빌딩245에서 옛 전남도청 복원 전시콘텐츠 관련 대국민설명회에서 박태훈 문화관광부 옛전남도청복원추진단 콘텐츠 팀장이 설명하고 있다.
최기남 기자 bluesky@gwangnam.co.kr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령의 상징인 ‘보도검열관실’의 옛 전남도청 내 복원이 사실상 물 건너갔다.
28일 옛 전남도청복원추진단(추진단)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광주 동구 전일빌딩245에서 ‘옛 전남도청 복원 전시 콘텐츠 관련 대국민 설명회’를 진행했다.
추진단은 이 자리에서 5·18 최후 항전지인 옛 전남도청을 ‘최후항쟁 오월 정신의 계승과 확산을 위한 상징성 있는 전시 콘텐츠 공간’으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앞서 복원 촉구의 목소리가 높았던 옛 전남도청 보도검열관실 복원 사업은 추진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됐다.
보도검열관실은 1979년 10·26군사반란 이후 계엄령에 따라 ‘계엄사령부 전남·북계엄분소 보도검열담당관실’이라는 이름으로 옛 전남도청 별관 2층에 설치됐다.
‘K-공작계획’으로 명명한 언론통제 지침을 작성한 뒤 보도내용을 일일이 검열·통제하고 ‘보도검토필’이라는 도장을 찍은 기사만 신문에 싣거나 방송하도록 허용했다. 이후에는 비판적 언론인 해직과 언론사 통폐합을 단행했다.
또 신문·방송·잡지 등 지역의 모든 매체들을 검열하며 전두환 정권 출범을 도왔고, 특히 5·18과 관련한 보도 일체를 사전 차단하는 역할을 맡았으며 1981년 1월24일까지 1년3개월 간 운영됐다.
때문에 5·18민주화운동 현장의 원형 복원을 위해 추진되는 복원사업과 더불어 언론의 자유를 탄압한 ‘보도검열관실’도 되살려 역사적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었다.
그러나 문체부 측은 해당 공간이 사라진 점, 공간을 복원할 사진이 없다는 이유 등으로 난색을 표했다.
옛 전남도청 등 다른 전시공간에 보도검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포함하고 ‘보도검열관 명패’를 놓아둔다는 복안을 내놓기도 했지만 끝내 무산됐다.
추진단 관계자는 “현재 공사 일정상 보도검열관실을 설치하는 것은 어렵다. 해당 공간에 전시할 자료를 수집하고 검증하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며 “향후 전시를 위해 구술 채록, 자료수집에 필요한 비용을 내년도 예산에 반영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한편, 옛 전남도청은 민주주의의 성지로 광주·전남 시·도민을 하나로 모으는 구심점이기도 했다.
하지만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건립 과정에서 옛 전남도청 건물 일부가 철거되고 변형됨에 따라 5·18 단체와 지역민으로부터 복원 요구가 계속돼 왔다.
지난 2018년 7월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 종합계획에 도청 복원이 포함되면서 원형 복원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이에 문체부는 지난 2019년 3월 옛 전남도청 복원에 대한 기본계획을 발표했고, 같은 해 11월부터 설계를 추진했다.
또 1980년 5월 당시 옛 전남도청 모습으로 완벽하게 복원하기 위해 2020년 9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타당성 재조사를 시행했다.
지난해 10월30일 착공식을 개최했고 12월 설계를 완료하며 본격 복원 공사의 시작을 알렸다.
28일 옛 전남도청복원추진단(추진단)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광주 동구 전일빌딩245에서 ‘옛 전남도청 복원 전시 콘텐츠 관련 대국민 설명회’를 진행했다.
추진단은 이 자리에서 5·18 최후 항전지인 옛 전남도청을 ‘최후항쟁 오월 정신의 계승과 확산을 위한 상징성 있는 전시 콘텐츠 공간’으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앞서 복원 촉구의 목소리가 높았던 옛 전남도청 보도검열관실 복원 사업은 추진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됐다.
보도검열관실은 1979년 10·26군사반란 이후 계엄령에 따라 ‘계엄사령부 전남·북계엄분소 보도검열담당관실’이라는 이름으로 옛 전남도청 별관 2층에 설치됐다.
‘K-공작계획’으로 명명한 언론통제 지침을 작성한 뒤 보도내용을 일일이 검열·통제하고 ‘보도검토필’이라는 도장을 찍은 기사만 신문에 싣거나 방송하도록 허용했다. 이후에는 비판적 언론인 해직과 언론사 통폐합을 단행했다.
또 신문·방송·잡지 등 지역의 모든 매체들을 검열하며 전두환 정권 출범을 도왔고, 특히 5·18과 관련한 보도 일체를 사전 차단하는 역할을 맡았으며 1981년 1월24일까지 1년3개월 간 운영됐다.
때문에 5·18민주화운동 현장의 원형 복원을 위해 추진되는 복원사업과 더불어 언론의 자유를 탄압한 ‘보도검열관실’도 되살려 역사적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었다.
그러나 문체부 측은 해당 공간이 사라진 점, 공간을 복원할 사진이 없다는 이유 등으로 난색을 표했다.
옛 전남도청 등 다른 전시공간에 보도검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포함하고 ‘보도검열관 명패’를 놓아둔다는 복안을 내놓기도 했지만 끝내 무산됐다.
추진단 관계자는 “현재 공사 일정상 보도검열관실을 설치하는 것은 어렵다. 해당 공간에 전시할 자료를 수집하고 검증하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며 “향후 전시를 위해 구술 채록, 자료수집에 필요한 비용을 내년도 예산에 반영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한편, 옛 전남도청은 민주주의의 성지로 광주·전남 시·도민을 하나로 모으는 구심점이기도 했다.
하지만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건립 과정에서 옛 전남도청 건물 일부가 철거되고 변형됨에 따라 5·18 단체와 지역민으로부터 복원 요구가 계속돼 왔다.
지난 2018년 7월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 종합계획에 도청 복원이 포함되면서 원형 복원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이에 문체부는 지난 2019년 3월 옛 전남도청 복원에 대한 기본계획을 발표했고, 같은 해 11월부터 설계를 추진했다.
또 1980년 5월 당시 옛 전남도청 모습으로 완벽하게 복원하기 위해 2020년 9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타당성 재조사를 시행했다.
지난해 10월30일 착공식을 개최했고 12월 설계를 완료하며 본격 복원 공사의 시작을 알렸다.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