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수업 참여율 저조…유급 사태 현실화 우려
전남대·조선대 의대생 수업 거부 지속…소수만 복귀
2026년도 의대 정원 확정 맞물려 유급 통보 가능성↑
입력 : 2025. 04. 15(화) 18:56
지난해부터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반발해 의대생들이 동맹휴학을 이어가고 있다. 사진은 텅 빈 강의실의 모습. 최기남 기자 bluesky@gwangnam.co.kr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해 동맹 휴학에 나섰던 광주 의대생들이 복학했지만,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사실상 ‘수업 거부’ 사태가 이어지면서 대규모 유급 우려가 일고 있다.

학교 측은 의대생들의 수업 복귀를 독려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지만, 수업 거부가 계속될 경우 유급 등 징계 조치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남대 의대는 지난 7일부터 모든 의대 수업을 대면 강의로 전환했다.

대면 강의 참여율은 과목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이 전체 수강생의 10%정도만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저조한 수업 참여로 전남대 의대는 의사 국가고시 응시 요건인 실습 강의 52시간을 이수해야 하는 본과 4학년부터 유급 조치를 내릴 지 고민하고 있다.

조선대 의대는 복학생, 신입생들의 수업 참여가 저조해 강의를 온라인 비대면을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지만 소수만 수업에 복귀한 상황이다.

즉, 조선대 의대생들도 대다수 의대생들과 마찬가지로 복귀 후 투쟁 기조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조선대는 현재까지 수업 불참 학생에 대해 당장은 유급을 고려치 않고 학년 말에 확정·통보할 방침이다. 다만, 교육부 방침 등 변수가 많아 유급 통보 시점이 바뀔 수도 있다.

의대의 경우 한 과목이라도 한 학기 수업일수의 1/4 또는 1/3을 이수하지 않아 F 학점을 받으면 유급 징계가 내려진다.

일반적으로 유급은 학년 말에 확정되지만, 정부의 2026년도 의대 모집 정원 확정과 맞물려 결정이 빨라질 수도 있다.

실제 고려대, 연세대 등은 최근 본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유급 처분을 결정하거나 최종 명단을 확정하고 있다.

때문에 의대생들의 대량 유급이 현실화할 경우 내년 의대 학사 운영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는 비관론도 나온다.

유급 조치가 이뤄지면 각 학교에서 2024학번과 2025학번, 2026학번이 한 곳에서 강의를 듣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수강신청부터 평가까지 교육 전반에 차질이 빚어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는 게 교육계의 설명이다.

한 대학 관계자는 “학생들의 수업 복귀를 최우선에 두고 독려하고 있다”며 “그러나 내년도 의대 정원 확정 시점에서는 학년 말이던 유급 통보 시점이 당겨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고시 응시로 실습수업에 반드시 참여해야 하는 본과 3·4학년들은 계속 수업 거부를 하면 유급이 불가피하다”며 “유급 사태가 확산한다면 2024~2026학번이 한 강의실에서 수업과 평가를 함께 받는 일이 발생해 학사 운영에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앞서 정부는 의대생들의 실제 수업 참여율에 따라 내년도 의대 모집 정원을 확정하기로 했다. 더 이상 수업 복귀가 유의미한 수준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의대 모집 정원을 2025학년도와 같은 5058명으로 확정할 수도 있다.
이산하 기자 goback@gwangnam.co.kr
사회일반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