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이 문화유산 돌봄사업 활성화 선도해야"
전남연구원, 이슈리포트서 국가유산청과 협업 등 방안 제시
입력 : 2024. 05. 22(수) 10:47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으로 국가유산 보호체계가 강화되고 지역의 역할과 기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정부 차원의 ‘문화유산 돌봄사업’ 임금 현실화와 교육 효율화 등을 바탕으로 전남도가 ‘문화유산 돌봄사업’ 활성화를 선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남연구원은 최근 ‘JNI 이슈리포트’를 통해 현행 문화유산 돌봄사업의 추진현황을 살피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이슈리포트에 따르면 전남도는 2009년 국가유산청(당시 문화재청)에 문화유산 돌봄사업을 최초로 제안하고 전국으로 확산시킨 주역으로, 전남지역문화유산돌봄센터는 ‘문화재 돌봄사업 운용 매뉴얼(2014)’ 전국 배포, 전국 최초로 ‘문화재 수리이력제’, ‘문화재 관리등급제’를 도입·실시하는 등 사업 체계화에 선구적 역할을 해왔다.
새로 출범한 국가유산청은 ‘문화유산 돌봄 고도화’, ‘사각지대 관리 및 강화’ 등을 통해 국가유산 보호체계를 강화할 것을 발표했고, 이에 따라 연구진은 지역문화유산돌봄센터의 역할과 기능이 더욱 확대되고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또 문화유산 돌봄인력의 교육장(경주시)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과 전반적으로 낮은 임금 수준, 전문모니터링 인력의 부족, 경미수리 인력의 고령화, 사업에 대한 대중의 인식 부족 등이 현주소임을 덧붙였다.
특히 전남은 문화유산 돌봄사업의 관리대상이 되는 국가지정유산이 타 지역에 비해 많지만 문화유산 1건당 돌봄 예산은 상대적으로 낮아, 돌봄대상 문화유산에 대한 관리·수리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라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김만호 전남연구원 책임연구위원과 최지혜 부연구위원은 “국가 차원의 문화유산 돌봄사업의 예산 확충에 더해 돌봄 인력의 임금 현실화, 청년 체험형 일자리 연계, 숙련 단계별 경미수리 돌봄인력 시스템으로의 개편, 권역별 교육기관 지정과 운영으로 문화유산 돌봄사업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문화유산 돌봄사업의 탄생을 가능하게 했고, 전국에서 돌봄 문화유산이 두 번째로 많은 전남이 국가유산청과 적극 협력할 것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전남연구원은 최근 ‘JNI 이슈리포트’를 통해 현행 문화유산 돌봄사업의 추진현황을 살피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이슈리포트에 따르면 전남도는 2009년 국가유산청(당시 문화재청)에 문화유산 돌봄사업을 최초로 제안하고 전국으로 확산시킨 주역으로, 전남지역문화유산돌봄센터는 ‘문화재 돌봄사업 운용 매뉴얼(2014)’ 전국 배포, 전국 최초로 ‘문화재 수리이력제’, ‘문화재 관리등급제’를 도입·실시하는 등 사업 체계화에 선구적 역할을 해왔다.
새로 출범한 국가유산청은 ‘문화유산 돌봄 고도화’, ‘사각지대 관리 및 강화’ 등을 통해 국가유산 보호체계를 강화할 것을 발표했고, 이에 따라 연구진은 지역문화유산돌봄센터의 역할과 기능이 더욱 확대되고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또 문화유산 돌봄인력의 교육장(경주시)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과 전반적으로 낮은 임금 수준, 전문모니터링 인력의 부족, 경미수리 인력의 고령화, 사업에 대한 대중의 인식 부족 등이 현주소임을 덧붙였다.
특히 전남은 문화유산 돌봄사업의 관리대상이 되는 국가지정유산이 타 지역에 비해 많지만 문화유산 1건당 돌봄 예산은 상대적으로 낮아, 돌봄대상 문화유산에 대한 관리·수리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라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김만호 전남연구원 책임연구위원과 최지혜 부연구위원은 “국가 차원의 문화유산 돌봄사업의 예산 확충에 더해 돌봄 인력의 임금 현실화, 청년 체험형 일자리 연계, 숙련 단계별 경미수리 돌봄인력 시스템으로의 개편, 권역별 교육기관 지정과 운영으로 문화유산 돌봄사업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문화유산 돌봄사업의 탄생을 가능하게 했고, 전국에서 돌봄 문화유산이 두 번째로 많은 전남이 국가유산청과 적극 협력할 것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박정렬 기자 holbul@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