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1인 1표제’ 개정안 논란 속 당무위원회 통과
중앙위 28일→내달 5일 연기
"우려 수용해 보완책 더 논의"
확정 앞두고 잡음 진화에 부심
"우려 수용해 보완책 더 논의"
확정 앞두고 잡음 진화에 부심
입력 : 2025. 11. 24(월) 17:28
본문 음성 듣기
가가
더불어민주당 이언주 최고위원(오른쪽)이 2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날 예정된 당무위원회에서 논의될 ‘당원 1인 1표제’ 관련 발언을 하고 있다.(연합)
더불어민주당이 ‘당원 주권 강화’에 방점을 둔 대의원·권리당원 ‘1인 1표제’ 당헌·당규 개정안이 24일 당무위원회를 통과했다.
하지만 최종 의결을 앞두고 개정안에 대한 반대·우려 의견이 속출하자 마지막 관문인 중앙위원회 개최는 예정보다 일주일 뒤로 연기했다.
조승래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무위 회의 후 브리핑에서 “1인 1표제 도입 등 당헌당규 개정에 대해 대체로 동의가 됐으나 일부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보완책을 더 논의하기 위해 중앙위를 28일에서 12월 5일로 연기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의견을 더 듣고 보완책을 구체화하자는 데 공감대가 형성됨에 따라 정 대표가 중앙위 일정 수정안을 직접 발의했다”고 조 사무총장은 전했다.
이날 당무위에서는 1인 1표제 도입안과 추진 절차를 두고 격론이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대의원과 권리당원 표의 가치를 동등한 1표로 맞추는 취지의 당헌·당규 개정안이 충분한 숙의 없이 진행된다는 비판론이 잇따랐고, 회의장 밖까지 고성이 들렸다.
정 대표가 당원 주권 시대 공약에 따라 추진하는 이번 당헌·당규 개정이 정 대표의 대표직 재선을 염두에 두고 강행된 것이라거나 경북 등 소외 지역의 당심을 반영할 보완책이 미비하다는 비판이 개진된 것으로 전해졌다.
조 사무총장은 “다른 의견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며 “그런 것을 다 수용해서 논의 시간을 더 갖기로 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원칙에 대한 찬반보다 절차의 정당성과 민주성 확보가 실제 논란의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이 최고위원은 “중요 제도를 충분한 숙의 과정 없이 단 며칠 만에 밀어붙이기 식으로 하는 게 맞느냐”며 “대통령 순방 중 이렇게 이의가 많은 안건을 밀어붙여 당원들을 분열시킬 필요가 있는가”라고 비판했다.
민주당 일부 당원들은 “정 대표에 대한 불신이 폭발하고 있다”며 ‘당헌·당규 개정안 의결 무효 확인 가처분 소송’을 제기하자는 연판장까지 돌리고 있다.
전날 강득구·윤종군 의원도 이번 당헌·당규 개정이 ‘졸속’이라며 반발했다.
이와 관련해 광주시당과 전남도당도 당헌·당규 개정 논란과 관련한 각 지역위원회의 의견을 수렴해 당 지도부에 전달했다.
이에 대해 당 관계자는 “긍정적인 의견도 없지 않았지만 부정적인 의견도 상당 부분 취합돼 특별한 가감 없이 당에 보고됐다”고 말했다.
당 지도부는 이런 논란에 대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숙의 과정을 거치면서 일부 당원들이 요구하는 보완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당헌·당규 개정안에 대의원과 전략 지역에 대한 보완 내용이 담겨 있다”며 “개정안을 통과시킨 뒤 ‘대의원 역할 정립 TF’에서 더 좋은 방안을 논의하자”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렸다.
당 대표 비서실장인 한민수 의원도 SBS 라디오에서 “1인 1표제는 민주당의 이어달리기로 이 대통령의 대표 시절에도 꾸준히 추진돼 왔다”며 “일정에 대한 비판이 있을 수는 있겠지만 8월 전당대회 이후 연내 처리를 위해 충분히 논의해 왔다”고 밝혔다.
당헌·당규 개정안을 둘러싼 반대론이 일부 친명(친이재명)계 의원들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긴 하지만, ‘당원 주권’의 대세를 거스를 정도는 아니라는 관측이 나온다.
친명계이자 당 전략기획위원장인 이해식 의원은 “당원 주권 강화는 당연지사로, 1인 1표제는 할 때가 됐다”며 “당세가 취약한 전략 지역에 대한 보완은 TF에서 다뤄야 한다”고 페이스북을 통해 밝혔다.
이번 당헌·당규 개정안은 다음 달 5일 최종 관문인 중앙위에서 반대 의견에 좌초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나 지도부는 마지막까지 긴장을 늦추지 않고 최선을 다해 설득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최종 의결을 앞두고 개정안에 대한 반대·우려 의견이 속출하자 마지막 관문인 중앙위원회 개최는 예정보다 일주일 뒤로 연기했다.
조승래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무위 회의 후 브리핑에서 “1인 1표제 도입 등 당헌당규 개정에 대해 대체로 동의가 됐으나 일부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보완책을 더 논의하기 위해 중앙위를 28일에서 12월 5일로 연기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의견을 더 듣고 보완책을 구체화하자는 데 공감대가 형성됨에 따라 정 대표가 중앙위 일정 수정안을 직접 발의했다”고 조 사무총장은 전했다.
이날 당무위에서는 1인 1표제 도입안과 추진 절차를 두고 격론이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대의원과 권리당원 표의 가치를 동등한 1표로 맞추는 취지의 당헌·당규 개정안이 충분한 숙의 없이 진행된다는 비판론이 잇따랐고, 회의장 밖까지 고성이 들렸다.
정 대표가 당원 주권 시대 공약에 따라 추진하는 이번 당헌·당규 개정이 정 대표의 대표직 재선을 염두에 두고 강행된 것이라거나 경북 등 소외 지역의 당심을 반영할 보완책이 미비하다는 비판이 개진된 것으로 전해졌다.
조 사무총장은 “다른 의견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며 “그런 것을 다 수용해서 논의 시간을 더 갖기로 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원칙에 대한 찬반보다 절차의 정당성과 민주성 확보가 실제 논란의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이 최고위원은 “중요 제도를 충분한 숙의 과정 없이 단 며칠 만에 밀어붙이기 식으로 하는 게 맞느냐”며 “대통령 순방 중 이렇게 이의가 많은 안건을 밀어붙여 당원들을 분열시킬 필요가 있는가”라고 비판했다.
민주당 일부 당원들은 “정 대표에 대한 불신이 폭발하고 있다”며 ‘당헌·당규 개정안 의결 무효 확인 가처분 소송’을 제기하자는 연판장까지 돌리고 있다.
전날 강득구·윤종군 의원도 이번 당헌·당규 개정이 ‘졸속’이라며 반발했다.
이와 관련해 광주시당과 전남도당도 당헌·당규 개정 논란과 관련한 각 지역위원회의 의견을 수렴해 당 지도부에 전달했다.
이에 대해 당 관계자는 “긍정적인 의견도 없지 않았지만 부정적인 의견도 상당 부분 취합돼 특별한 가감 없이 당에 보고됐다”고 말했다.
당 지도부는 이런 논란에 대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숙의 과정을 거치면서 일부 당원들이 요구하는 보완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당헌·당규 개정안에 대의원과 전략 지역에 대한 보완 내용이 담겨 있다”며 “개정안을 통과시킨 뒤 ‘대의원 역할 정립 TF’에서 더 좋은 방안을 논의하자”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렸다.
당 대표 비서실장인 한민수 의원도 SBS 라디오에서 “1인 1표제는 민주당의 이어달리기로 이 대통령의 대표 시절에도 꾸준히 추진돼 왔다”며 “일정에 대한 비판이 있을 수는 있겠지만 8월 전당대회 이후 연내 처리를 위해 충분히 논의해 왔다”고 밝혔다.
당헌·당규 개정안을 둘러싼 반대론이 일부 친명(친이재명)계 의원들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긴 하지만, ‘당원 주권’의 대세를 거스를 정도는 아니라는 관측이 나온다.
친명계이자 당 전략기획위원장인 이해식 의원은 “당원 주권 강화는 당연지사로, 1인 1표제는 할 때가 됐다”며 “당세가 취약한 전략 지역에 대한 보완은 TF에서 다뤄야 한다”고 페이스북을 통해 밝혔다.
이번 당헌·당규 개정안은 다음 달 5일 최종 관문인 중앙위에서 반대 의견에 좌초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나 지도부는 마지막까지 긴장을 늦추지 않고 최선을 다해 설득한다는 입장이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