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전남 13개 군 ‘소멸 고위험’ 대책 아직도 없나
입력 : 2025. 11. 24(월) 00:06
본문 음성 듣기
전남 13개 군이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됐다고 한다. 이는 전남 22개 시·군중 60% 가까운 수치다.

소멸 고위험 지역은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지방소멸 위험지수가 0.2 미만인 지역을 말하는 데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매우 심각한 곳을 의미한다.

참고로 인구 소멸 위험지수는 1.5이상이면 ‘낮음’, 1.0~1.5미만 ‘보통’, 0.5~1.0미만 ‘주의’, 0.2~0.5미만 ‘위험’, 0.2미만 ‘고위험’ 등 5개 단계로 구분한다.

호남지방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인구 감소 지역 변화상’ 자료를 보면 지난 2016년부터 위험지역에 진입한 전남의 지난해 소멸 위험지수는 0.32다. 위험 단계라는 얘기다.

전남도내 지자체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2015년 고흥 1곳에 불과했던 고위험 지역이 지난해 고흥을 포함해 담양, 곡성, 구례, 보성, 장흥, 강진, 해남, 함평, 장성, 완도, 진도, 신안군 등 13곳으로 늘어난 것이다.

문제는 이들 지역의 경우 인구 감소폭이 전국 평균 감소폭을 크게 상회하고 고령화 비율은 점점 높아지고 있는 등 나아질 기미가 없다는 데 있다.

실제로 지난 10년간(2015~2024년)이들 지역의 연평균 인구 성장률은 -1.63%로 이 기간 전남과 전국의 연평균 인구 성장률이 각각 -0.72%, -0.07%였던 것과 비교하면 감소 폭이 너무 크다.

이들 지역의 고령화 비율 또한 2015년 30.7%에서 지난해 39.4%로 8.7%p 상승했고 청년 비율은 전국 평균(10.7%)을 밑도는 10.4%에 그쳤다.

여기에 이들 지역 고령 1인 가구비율은 23.5%를 기록, 전남지역 고령 1인 가구 비율이 16.1%를 크게 웃돌고 있다.

더 심각한 것은 앞으로 이들 지자체의 인구소멸이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이들 지역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맞춤형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다시 말해 단일 정책이나 예산 투입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정책의 실효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일·가정 양립 및 청년 지원, 교통·공공서비스 확충, 지역 경제 활성화 등 실질적인 해결책을 종합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얘기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사설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