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정부 ‘해상풍력 활성화’ 대책 서둘러야 한다
입력 : 2025. 11. 04(화) 18:18
본문 음성 듣기
가가
해상풍력은 대표적 미래성장산업이다. 대규모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그리고 환경적 이점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핵심 에너지 산업으로 특히 고령화·산업구조 위기를 겪고 있는 지역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고 있다. 
현재 전남은 이 산업의 중심지다. 전국 해상풍력 잠재량의 3분의 1(125GW)이 있는데다 실제 전국 해상풍력 허가 물량의 60% 이상이 집중돼 있어서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국회의원은 최근 발간한 ‘해상풍력과 일자리 창출 효과’ 보고서에서 정부가 2030년까지 목표인 14.3GW의 해상풍력 보급을 달성할 경우 전국적으로 약 35만75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분석했다. 국제에너지기구 등 일부 보고서도 정부의 목표 달성 시 최대 77만 개 일자리 창출도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그만큼 일자리 창출 효과가 탁월하다는 얘기다
전남은 모든 면에서 경쟁력이 뛰어나다. 연평균 풍속 7.2m/s, 수심 40m 이내의 얕은 해역, 6500㎞에 달하는 해안선 등 천혜의 입지 여건에다 조선, 해양플랜트, 기계산업 등 기존 제조 인프라산업과 결합도 가능하다. 해상풍력 전 과정을 소화할 수 있는 산업 구조를 갖췄다는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4월 지정한 ‘신안 해상풍력 집적화단지’는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이 곳은 총 설비용량 3.2GW, 민간투자 20조 원 규모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규모 단일 해상풍력 단지인데 10개 세부 구역으로 나뉘어 단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전남도는 이 단지를 중심으로 해상풍력 기자재·설치·운영 기업을 지역에 유치, 약 3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또 단순 발전사업이 아닌 도민이 참여하고 수익을 공유하는 구조로 만들기 위해 ‘전남형 에너지 기본소득’모델을 추진키로 했다.
2035년까지 해상풍력 16GW 등 총 23GW 규모의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조성, 연간 1조 원 규모의 수익을 도민에게 환원키로 한 것이다.
하지만 이 산업이 아직 초기단계이니만큼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될 과제가 많다. 우선 육상풍력 대비 높은 투자비와 발전단가로 성장에 한계가 있어 기술 개발, 대형화, 대량 구매에 따른 원가 절감책 마련이 절실하다. 특히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인허가 절차 간소화, 배후항만 확충, 송전망 조기 구축 등 제도적 뒷받침과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하다.
현재 전남은 이 산업의 중심지다. 전국 해상풍력 잠재량의 3분의 1(125GW)이 있는데다 실제 전국 해상풍력 허가 물량의 60% 이상이 집중돼 있어서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국회의원은 최근 발간한 ‘해상풍력과 일자리 창출 효과’ 보고서에서 정부가 2030년까지 목표인 14.3GW의 해상풍력 보급을 달성할 경우 전국적으로 약 35만75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분석했다. 국제에너지기구 등 일부 보고서도 정부의 목표 달성 시 최대 77만 개 일자리 창출도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그만큼 일자리 창출 효과가 탁월하다는 얘기다
전남은 모든 면에서 경쟁력이 뛰어나다. 연평균 풍속 7.2m/s, 수심 40m 이내의 얕은 해역, 6500㎞에 달하는 해안선 등 천혜의 입지 여건에다 조선, 해양플랜트, 기계산업 등 기존 제조 인프라산업과 결합도 가능하다. 해상풍력 전 과정을 소화할 수 있는 산업 구조를 갖췄다는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4월 지정한 ‘신안 해상풍력 집적화단지’는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이 곳은 총 설비용량 3.2GW, 민간투자 20조 원 규모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규모 단일 해상풍력 단지인데 10개 세부 구역으로 나뉘어 단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전남도는 이 단지를 중심으로 해상풍력 기자재·설치·운영 기업을 지역에 유치, 약 3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또 단순 발전사업이 아닌 도민이 참여하고 수익을 공유하는 구조로 만들기 위해 ‘전남형 에너지 기본소득’모델을 추진키로 했다.
2035년까지 해상풍력 16GW 등 총 23GW 규모의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조성, 연간 1조 원 규모의 수익을 도민에게 환원키로 한 것이다.
하지만 이 산업이 아직 초기단계이니만큼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될 과제가 많다. 우선 육상풍력 대비 높은 투자비와 발전단가로 성장에 한계가 있어 기술 개발, 대형화, 대량 구매에 따른 원가 절감책 마련이 절실하다. 특히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인허가 절차 간소화, 배후항만 확충, 송전망 조기 구축 등 제도적 뒷받침과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하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