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협상 제외 '철강품목' 대미 후속협상 재논의해야"
광양·포항·당진, 정부에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등 촉구
입력 : 2025. 11. 04(화) 17:06
본문 음성 듣기
광양·포항·당진 등 국내 3개 철강도시는 4일 ‘철강산업도시 단체장 긴급 영상회의’를 갖고 대미 후속협상을 통한 철강 품목 재논의 등 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6가지 안건을 정부와 국회에 건의하기로 했다.

광양시에 따르면 김정완 광양 부시장과 이강덕 포항시장, 황침현 당진 부시장은 이번 영상회의를 통해 철강이 한·미 관세협상 대상에서 제외돼 고율 관세가 유지된 데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고 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대응책을 논의했다.

이들은 회의에서 철강산업이 국가 기간산업이자 제조강국의 근간이며 포항·광양·당진이 국내 생산의 93%를 차지하는 철강 핵심 거점도시라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고율 관세조치가 지역경제뿐만 아니라 국가 전체 제조산업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함께 했다.

이번 영상회의를 통해 3개 철강도시는 대미 후속협상을 통한 철강 품목 재논의 촉구, 광양·당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확대 지정, 포항·광양·당진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 조기 지정, K-Steel법(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법) 조속 제정, 철강산업 고도화 종합대책의 지역 맞춤형 실효성 강화, 4차 배출권 허용 총량 완화 등 6가지 사항을 정부와 국회에 공식적으로 건의하기로 했다.

이들은 또 3개 지자체·기업·상공회의소가 함께 참여하는 국회 철강포럼을 공동 개최해 철강산업의 생존 해법을 모색하고 범정부 차원의 대응을 촉구해 나가기로 했다.

김정완 광양시 부시장은 “철강산업은 광양경제의 중추이자 대한민국 제조산업의 심장이다”며 “이번 위기 극복을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기업이 함께 협력해 나가고 선제대응지역 지정 확정과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대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광양시는 지난 9월 산업통상자원부에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했으며, 지난달 21일 실사를 완료하고 현재 지정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광양=김귀진 기자 lkkjin@gwangnam.co.kr
광양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