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캄보디아 ‘한국인 대상 범죄’ 뿌리 뽑아야
입력 : 2025. 10. 14(화) 18:39
본문 음성 듣기
가가
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강력범죄가 급증하고 있다.
2022~2023년 연간 10~20건이었던 납치·감금 범죄가 지난해 221건으로 크게 증가한데 이어 최근에는 대학생 사망사건까지 발생할 정도로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이다. 관련 실종신고가 광주에서 3건 접수되는 등 전국적으로 문의전화와 실종신고가 빗발치고 있을 정도다.
이재명 대통령도 외교부에 총력 대응을 지시하고 정부차원의 ‘캄보디아 한국인 범죄 대응’ 테스크포스를 꾸릴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경찰은 현지에 한인사건 처리 전담경찰관 설치, 경찰영사 확대 배치, 국제 공조수사인력 30명 보강을 추진하며 대책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하지만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온라인 공간에서는 여전히 ‘고수익’을 보장하며 동남아행을 유도하는 각종 게시물이 활개를 치고 있다.
이들 게시물에는 현지에서 텔레마케터, 서류 전달, 동행 여행 등을 하면 매달 최소 700만원에서 수 천만원을 벌 수 있고 하루 3끼 식사와 숙소도 제공한다고 적혀 있었다.
최근 일부 게시물에는 국내 여론을 의식한 듯 ‘감금은 절대 없으며 외박도 가능하다’는 내용이 들어 있고 모집 장소를 캄보디아가 아닌 태국, 베트남 등 인근 동남아 국가로 적어놓는 사례도 있다고 한다.
여기에 속은 사람들은 게시자와 1대1 대화를 요청하고, 이들이 짜놓은 대본에 따라 캄보디아 등으로 출국, 현지에서 보이스피싱이나 로맨스스캠 등 범죄에 가담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뒤늦게 알고 도주를 시도하거나 할당된 실적을 달성하지 못할 경우에는 극심한 고문에 시달리는 경우까지 발생하고 있다.
문제는 SNS에 무분별하게 게시됐다가 사라지기를 반복하는 이같은 글들을 제지할 방법이 없다는 데 있다.
경찰이 이들 플랫폼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지만 SNS에서 벌어지는 일을 추적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캄보디아, 필리핀, 라오스의 경우는 현지 사정 등으로 우리나라 치안력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한다.
이에 따라 고수익 보장 취업에 혹할 가능성이 큰 젊은 층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정부도 한국인을 상대로 한 이같은 범죄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강력한 대책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할 떄다.
2022~2023년 연간 10~20건이었던 납치·감금 범죄가 지난해 221건으로 크게 증가한데 이어 최근에는 대학생 사망사건까지 발생할 정도로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이다. 관련 실종신고가 광주에서 3건 접수되는 등 전국적으로 문의전화와 실종신고가 빗발치고 있을 정도다.
이재명 대통령도 외교부에 총력 대응을 지시하고 정부차원의 ‘캄보디아 한국인 범죄 대응’ 테스크포스를 꾸릴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경찰은 현지에 한인사건 처리 전담경찰관 설치, 경찰영사 확대 배치, 국제 공조수사인력 30명 보강을 추진하며 대책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하지만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온라인 공간에서는 여전히 ‘고수익’을 보장하며 동남아행을 유도하는 각종 게시물이 활개를 치고 있다.
이들 게시물에는 현지에서 텔레마케터, 서류 전달, 동행 여행 등을 하면 매달 최소 700만원에서 수 천만원을 벌 수 있고 하루 3끼 식사와 숙소도 제공한다고 적혀 있었다.
최근 일부 게시물에는 국내 여론을 의식한 듯 ‘감금은 절대 없으며 외박도 가능하다’는 내용이 들어 있고 모집 장소를 캄보디아가 아닌 태국, 베트남 등 인근 동남아 국가로 적어놓는 사례도 있다고 한다.
여기에 속은 사람들은 게시자와 1대1 대화를 요청하고, 이들이 짜놓은 대본에 따라 캄보디아 등으로 출국, 현지에서 보이스피싱이나 로맨스스캠 등 범죄에 가담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뒤늦게 알고 도주를 시도하거나 할당된 실적을 달성하지 못할 경우에는 극심한 고문에 시달리는 경우까지 발생하고 있다.
문제는 SNS에 무분별하게 게시됐다가 사라지기를 반복하는 이같은 글들을 제지할 방법이 없다는 데 있다.
경찰이 이들 플랫폼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지만 SNS에서 벌어지는 일을 추적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캄보디아, 필리핀, 라오스의 경우는 현지 사정 등으로 우리나라 치안력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한다.
이에 따라 고수익 보장 취업에 혹할 가능성이 큰 젊은 층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정부도 한국인을 상대로 한 이같은 범죄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강력한 대책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할 떄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