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광주시·전남도, 폭염 취약층 적극 지원해야
입력 : 2025. 07. 15(화) 14:29
광주시와 전남도의 폭염 취약층 대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례적인 찜통더위가 장기화되자 이들의 건강과 안전을 구석구석 살피는 현장 밀착 지원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는 것이다.

먼저 광주시는 7-8월을 폭염 대책 중점 추진 기간으로 정하고 폭염 민감대상자 15개 유형을 신체·사회·직업·경제 분야로 나눠 맞춤형 보호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고령자, 만성질환자 등 1만5000명에게 생활지원사 1000여명이 매일 전화 또는 방문해 안부를 확인하고 있고 독거 어르신 8000여가구에는 ICT(정보통신기술) 장비를 활용한 응급안전안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건설 현장에는 ‘2시간 작업, 20분 휴식’을 권고, 냉방시설과 냉수·쿨링용품을 구비토록 했다고 한다.

야외에서 일하는 이동 노동자들의 건강 보호를 위해 ‘안전쉼터 쿠폰 지급사업’을 올해 처음 시행해 배달노동자 150명, 대리운전기사 500명 등 650명에게 1인 당 2만5000원 상당의 편의점 쿠폰을 지급키로 한 것이다.

이와 함께 기초생활수급자, 노숙인, 쪽방 주민 등을 대상으로는 방문 건강관리 서비스, 냉방용품, 응급쉼터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1500여개소의 무더위쉼터에는 냉방비를 지원키로 했다.

전남도도 폭염 취약계층별 세분화된 대응 체계를 마련, 이들의 인명 피해 예방을 최우선으로 한 행정을 펼치고 있다.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 5만3000여명을 대상으로 생활지원사 3335명이 매일 안부 확인을 하고 9500여개소에 이르는 도내 모든 경로당에 냉방비 10만원을 이달 말까지 긴급 지원키로 했다.

거동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은 장애인 활동지원사 5860명이 매일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온열질환에 취약한 장애인과 노인 일자리 참여자의 근무시간을 탄력 조정하도록 했다.

기초생활수급자 등 건강 취약계층 2026명에게는 보건소 방문 전담인력 229명이 매일 건강과 안전을 확인하고 있으며 거리 노숙인을 위해 시·군 순찰반을 운영, 생수 제공, 무더위 쉼터 안내 등을 하고 있다.

광주·전남에 16일간 발령된 폭염 특보는 폭우로 인해 13일 해제됐다. 하지만 무더위는 이번 여름 내내 계속될 가능성이 높으니 만큼 광주시와 전남도는 앞으로도 폭염 대책에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사설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