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마약 청정국’ 지위 회복하길
임영진 사회교육부 차장
입력 : 2025. 07. 09(수) 18:38

최근 광주·전남지역에서 적발된 마약사범이 2년 연속 1000명을 넘기는 등 마약 중독 범죄가 심상치 않다.
26일 광주지검 등에 따르면 지난해 처벌한 마약사범은 1045명으로 확인됐다. 2023년 1505명, 2022년 778명이 적발됐다.
지난해 적발된 1045명은 향정신성의약품 투약 사범(789명·75.5%)이 대다수였다. 이어 천연·합성마약 사범은 147명, 대마 관련 검거 인원은 109명이었다.
한 교정위원은 이전까지 광주교도소와 해남교도소 등의 수감자들은 주로 수도권이나 경남 사람이었으나 최근에는 10명 중 3명이 광주·전남 사람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마약범죄의 재범률이 높다는 점이다. 마약은 ‘도파민 보상회로’를 변형시켜 강한 갈망과 충동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그 결과 치료 후 1년 내 재발률이 40~60%를 육박해 고혈압·당뇨병처럼 만성·재발성 질환의 패턴을 보이고 있다. 마약 사범의 재복역률도 87.8%에 달한다.
마약사범의 확산을 막기 위한 수사기관의 노력으로 검거 속도는 빨라졌지만, 이들을 위한 회복 인프라 구축은 더딘 상황이다.
실제 광주·전남의 치료보호 지정 병원은 두 곳 뿐이다. 급성 금단 환자는 대구나 수원까지 이동해야 하고, 대기 기간만 6~8주에 이른다.
사후 관리도 부재하다. NA(단약 자조모임)와 식약처 중독재활센터가 한 곳도 없어 ‘치료→지역 회복’ 고리가 완전히 끊긴 상태다.
마약사범이 또다시 투약하는 악순환을 막지 못하는 이유다. 이제라도 단속과 처벌 중심의 정책에서 치료·재활 중심의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
또 마약을 질병으로 인식하고 공동체 중심의 재활과 실질적인 회복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마약사범이 다시 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치료 등을 지원, 한국이 마약 청정국 지위를 다시 회복하길 기대한다.
26일 광주지검 등에 따르면 지난해 처벌한 마약사범은 1045명으로 확인됐다. 2023년 1505명, 2022년 778명이 적발됐다.
지난해 적발된 1045명은 향정신성의약품 투약 사범(789명·75.5%)이 대다수였다. 이어 천연·합성마약 사범은 147명, 대마 관련 검거 인원은 109명이었다.
한 교정위원은 이전까지 광주교도소와 해남교도소 등의 수감자들은 주로 수도권이나 경남 사람이었으나 최근에는 10명 중 3명이 광주·전남 사람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마약범죄의 재범률이 높다는 점이다. 마약은 ‘도파민 보상회로’를 변형시켜 강한 갈망과 충동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그 결과 치료 후 1년 내 재발률이 40~60%를 육박해 고혈압·당뇨병처럼 만성·재발성 질환의 패턴을 보이고 있다. 마약 사범의 재복역률도 87.8%에 달한다.
마약사범의 확산을 막기 위한 수사기관의 노력으로 검거 속도는 빨라졌지만, 이들을 위한 회복 인프라 구축은 더딘 상황이다.
실제 광주·전남의 치료보호 지정 병원은 두 곳 뿐이다. 급성 금단 환자는 대구나 수원까지 이동해야 하고, 대기 기간만 6~8주에 이른다.
사후 관리도 부재하다. NA(단약 자조모임)와 식약처 중독재활센터가 한 곳도 없어 ‘치료→지역 회복’ 고리가 완전히 끊긴 상태다.
마약사범이 또다시 투약하는 악순환을 막지 못하는 이유다. 이제라도 단속과 처벌 중심의 정책에서 치료·재활 중심의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
또 마약을 질병으로 인식하고 공동체 중심의 재활과 실질적인 회복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마약사범이 다시 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치료 등을 지원, 한국이 마약 청정국 지위를 다시 회복하길 기대한다.
광남일보@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