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도심 남북 연결 ‘간선급행버스’ 조성 본격화
시, 백운-매곡 BRT 계획 수립…신규노선 발굴도
2027년 개통 목표…교통혼잡 해소·대자보 도시 조성
입력 : 2025. 05. 07(수) 18:26
광주시는 7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광주권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개발계획 수립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섰다.
광주시가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개발 계획에 본격 착수했다.

광주시는 7일 시청에서 ‘광주권 간선급행버스체계 개발계획 수립용역 착수 보고회’를 열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섰다.

광주시가 추진하고 있는 ‘대·자·보(대중교통·자전거·보행) 도시 조성 사업’의 하나인 간선급행버스체계(BRT)는 광주 남북축에 신속성·정시성 등을 갖춘 새로운 대중교통수단을 도입하는 사업이다.

이를 통해 교통혼잡을 해소하고 친환경 교통체계를 구축해 탄소중립 도시로의 전환을 가속화 한다는 계획이다.

광주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제1차 간선급행버스체계 종합계획 수정계획(2021~2030)에 반영된 광주 백운광장(옛 대동고)~농성역~광천사거리~경신여고~광주공고(8.67㎞)를 잇는 ‘백운-매곡 BRT’ 노선의 개발계획을 수립한다. 총정거장은 8개로 구체적인 위치는 개발계획 수립 때 확정된다.

또 신규 노선도 추가로 발굴해 오는 2026년 기본 및 실시설계, 2027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시범운행을 거쳐 복합쇼핑몰 ‘더현대 광주’가 개장하는 2028년 상반기까지 공식 운행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착수보고회에는 광주시, 시의회, 관할 자치구, 광주경찰청,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도로교통공단, 광주연구원 등 교통전문가 및 관계자들이 참석해 광주권 간선급행버스체계 구축 방향과 추진 전략을 공유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도시철도 1, 2호선 및 광천상무선과 연계해 광주 도심 남북을 잇게 될 BRT는 2032년 광천상무선이 개통되기 전까지 광천권의 교통을 담당하는 핵심 대중교통 인프라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종호 광역교통과장은 “대자보 시대를 열어가고 시민의 삶을 크게 바꿀 수 있는 광주시의 새로운 대중교통수단을 도입하는 사업인 만큼 관계기관과 전문가들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자문과 협조를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자치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