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전남 자치단체 ‘18년간 출생수당’ 효과 보길
여균수 주필
입력 : 2024. 02. 15(목) 18:12

전남도와 일선 시·군 자치단체들이 모든 출생아들에게 18년간 매월 20만원의 출생수당을 지급하는 등 공격적인 인구정책에 나섰다고 한다.
김영록 전남도지사와 22개 시장·군수는 지난 14일 출생수당 공동추진 업무협약을 갖고 전남에 출생신고를 한 모든 아이가 만 18세에 도달할 때까지 출생수당을 지급하기로 했다.
열악한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전남 자치단체들이 과감한 출생수당을 도입한 것은 심각한 저출산 상황을 극복하고자 하는 불가피한 선택이라 할 것이다.
전남은 전국 제1의 소멸위기 지역이다. 통계청은 인구 변화 추이가 이 상태로 진행되면 2030년 전남 인구가 160만명대, 2043년 150만명대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국가와 전남, 시·군 등 3개 주체가 하나가 돼 출생부터 양육까지 18년간 책임진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전남도와 22개 시·군은 2024년 이후 도내에서 태어난 아이들에게 각각 10만원씩 매월 20만원을 지급하는 내용이 골자다. 광역·기초 지자체가 협력해 출생수당을 지급하는 것은 전국에서 처음이다.
도 출생수당과 시·군 출생수당을 동시에 받게 될 경우 18년간 출생아 한 명단 총 4320만원을 지원받게 된다.
지원 대상은 부모 모두가 전남에 주민등록을 두고 올해부터 전남에서 출생을 신고한 아이다.
지급 시점은 전남도의 경우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예산을 확보한 후 이르면 오는 8∼9월부터 지급하고, 일선 시·군도 하반기부터, 늦어도 내년부터 지급하기로 했다.
부모 또는 아이가 17세 전에 타 광역지자체로 주소를 옮기면 출생수당 지급은 중단된다.
각종 인구 늘리기 정책에도 불구하고 매년 큰 폭으로 줄고 있는 인구 절벽에 처한 전남자치단체들로서는 출생수당 지급이 고육지책이 아닐 수 없다. 지금 전남의 자치단체들에게 인구 만큼 값지고 중요한 것은 없다. 재정난 속에서 향후 기대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인구가 없어 자치단체 자체가 사라질 위기에 돈을 아낄 이유가 없지 않겠는가.
출생수당 지급이 인구절벽에 처한 전남의 돌파구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김영록 전남도지사와 22개 시장·군수는 지난 14일 출생수당 공동추진 업무협약을 갖고 전남에 출생신고를 한 모든 아이가 만 18세에 도달할 때까지 출생수당을 지급하기로 했다.
열악한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전남 자치단체들이 과감한 출생수당을 도입한 것은 심각한 저출산 상황을 극복하고자 하는 불가피한 선택이라 할 것이다.
전남은 전국 제1의 소멸위기 지역이다. 통계청은 인구 변화 추이가 이 상태로 진행되면 2030년 전남 인구가 160만명대, 2043년 150만명대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국가와 전남, 시·군 등 3개 주체가 하나가 돼 출생부터 양육까지 18년간 책임진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전남도와 22개 시·군은 2024년 이후 도내에서 태어난 아이들에게 각각 10만원씩 매월 20만원을 지급하는 내용이 골자다. 광역·기초 지자체가 협력해 출생수당을 지급하는 것은 전국에서 처음이다.
도 출생수당과 시·군 출생수당을 동시에 받게 될 경우 18년간 출생아 한 명단 총 4320만원을 지원받게 된다.
지원 대상은 부모 모두가 전남에 주민등록을 두고 올해부터 전남에서 출생을 신고한 아이다.
지급 시점은 전남도의 경우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예산을 확보한 후 이르면 오는 8∼9월부터 지급하고, 일선 시·군도 하반기부터, 늦어도 내년부터 지급하기로 했다.
부모 또는 아이가 17세 전에 타 광역지자체로 주소를 옮기면 출생수당 지급은 중단된다.
각종 인구 늘리기 정책에도 불구하고 매년 큰 폭으로 줄고 있는 인구 절벽에 처한 전남자치단체들로서는 출생수당 지급이 고육지책이 아닐 수 없다. 지금 전남의 자치단체들에게 인구 만큼 값지고 중요한 것은 없다. 재정난 속에서 향후 기대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인구가 없어 자치단체 자체가 사라질 위기에 돈을 아낄 이유가 없지 않겠는가.
출생수당 지급이 인구절벽에 처한 전남의 돌파구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여균수 기자 dangsannamu1@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