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군, 서남권 발전 큰그림 ‘무안시 전환’ 올인
정책 토론회 개최…특화도시 조성 필요성 등 강조
김산 군수 "백년대계 시 전환 로드맵 체계적 준비"
김산 군수 "백년대계 시 전환 로드맵 체계적 준비"
입력 : 2023. 09. 24(일) 00:57

무안군은 최근 승달문화예술회관에서 무안군과 무안시전환추진위원회가 공동주관해 ‘무안시 전환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무안군이 코로나19 종식 이후 3년만에 무안시 전환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여는 민관 합동 열띤 토론의 장을 마련했다.
24일 무안군에 따르면 최근 승달문화예술회관에서 무안군과 무안시전환추진위원회가 공동주관해 ‘무안시 전환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에는 김산 무안군수, 김경현 무안군의회 의장, 정길수 전남도의원, 이수용 무안시전환추진위원회 위원장 등 군·읍면 기관사회단체장을 비롯한 200여명의 군민이 참석했다.
토론회는 초당대학교 정행준 교수가 주제발표를, 무안국제공항활성화추진위원회 박일상 위원장, 임윤택 무안군의원, 임지수 삼향읍주민자치위원회 위원이 토론자로 참석해 무안시 전환 추진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주제발표를 한 정행준 교수는 전남을 볼 때 수도권 지역과의 격차는 말할 것도 없고 여수, 순천, 광양시가 있는 동부권에 비해 목포, 나주시만 있는 서부권은 상대적으로 낙후돼 있어 서부권 균형발전 벨트화를 위한 새로운 특화도시가 필요하다”며 이에 대한 모델로 전남도청 소재지이며 공항과 3개 대학이 소재한 무안군이 최적지로 무안시 전환을 제시했다.
임윤택 군의원은 “9만 군민 모두의 공감대 형성은 물론 군과 같은 처지에 있는 충남도청소재지인 홍성군과 연대해 지방자치법 개정을 통한 시 전환을 지속해야 한다”며 “인구유입을 위해서는 MRO, 무안국제공항 활성화, K푸드 융복합사업 등을 성공시켜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지수 삼향읍주민자치위원회 위원은 “광주시에서 남악으로 이사와 10년 이상 거주중이다”며 “무안시로 전환하면 지금보다 더 많은 문화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고 기대했다.
박일상 무안국제공항활성화 위원장은 “국내 15개 공항 중 24시간 이착륙이 가능한 공항은 인천과 무안공항이다”며 “2025년 KTX와 활주로가 연장되면 무안국제공항은 명실공히 서남권거점공항으로 발돋음할 것이다”라 설명했다.
김산 무안군수는 “무안시 전환은 무안 백년대계를 이끄는 원동력이자 서남권 균형발전을 선도할 것이다”며 “토론회에서 제시된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하고 시 전환 추진 로드맵을 체계적으로 준비해 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4일 무안군에 따르면 최근 승달문화예술회관에서 무안군과 무안시전환추진위원회가 공동주관해 ‘무안시 전환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에는 김산 무안군수, 김경현 무안군의회 의장, 정길수 전남도의원, 이수용 무안시전환추진위원회 위원장 등 군·읍면 기관사회단체장을 비롯한 200여명의 군민이 참석했다.
토론회는 초당대학교 정행준 교수가 주제발표를, 무안국제공항활성화추진위원회 박일상 위원장, 임윤택 무안군의원, 임지수 삼향읍주민자치위원회 위원이 토론자로 참석해 무안시 전환 추진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주제발표를 한 정행준 교수는 전남을 볼 때 수도권 지역과의 격차는 말할 것도 없고 여수, 순천, 광양시가 있는 동부권에 비해 목포, 나주시만 있는 서부권은 상대적으로 낙후돼 있어 서부권 균형발전 벨트화를 위한 새로운 특화도시가 필요하다”며 이에 대한 모델로 전남도청 소재지이며 공항과 3개 대학이 소재한 무안군이 최적지로 무안시 전환을 제시했다.
임윤택 군의원은 “9만 군민 모두의 공감대 형성은 물론 군과 같은 처지에 있는 충남도청소재지인 홍성군과 연대해 지방자치법 개정을 통한 시 전환을 지속해야 한다”며 “인구유입을 위해서는 MRO, 무안국제공항 활성화, K푸드 융복합사업 등을 성공시켜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지수 삼향읍주민자치위원회 위원은 “광주시에서 남악으로 이사와 10년 이상 거주중이다”며 “무안시로 전환하면 지금보다 더 많은 문화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고 기대했다.
박일상 무안국제공항활성화 위원장은 “국내 15개 공항 중 24시간 이착륙이 가능한 공항은 인천과 무안공항이다”며 “2025년 KTX와 활주로가 연장되면 무안국제공항은 명실공히 서남권거점공항으로 발돋음할 것이다”라 설명했다.
김산 무안군수는 “무안시 전환은 무안 백년대계를 이끄는 원동력이자 서남권 균형발전을 선도할 것이다”며 “토론회에서 제시된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하고 시 전환 추진 로드맵을 체계적으로 준비해 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무안=이훈기 기자 leek2123@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