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전남 ‘생활인구 프로젝트’ 지역소멸 대안될까
입력 : 2025. 11. 19(수) 18:07
본문 음성 듣기
생활인구는 특정 지역에 거주하거나 체류하면서 생활을 영위하는 사람을 말한다. 주민등록인구에 월 1회, 3시간 이상 머무는 체류인구와 외국인등록자를 포함하는 새로운 인구 개념이다. 기존 주민등록인구만으로 실제 지역 활력과 행정수요를 파악하기 어려워, 인구감소지역 지원과 지역 활성화 정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해 지난 2023년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시행과 함께 도입됐다. 내년부터는 정부의 지방교부세 산정에 반영된다.

그런 관점에서 전남 인구 감소지역 16개군의 생활인구를 살펴보면 지난 3월 기준 등록인구 70만명, 체류 인구 278만명 등 총 348만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 달간 등록 인구의 5배가 전남을 오가며 생활할 정도로 중요한 개념이 되고 있다.

이에 전남도는 지방소멸 위기 극복과 지역경제 활력을 위해 이달부터 오는 2030년까지 21조 6345억원을 투입해 ‘생활인구 생생생 프로젝트’를 추진키로 했다.

지난 5월부터 24개 실·국·원이 참여하는 TF를 구성, 생활인구 유입 활성화 과제를 발굴하고,‘월 1000만명이 머무는 활력 전남’이라는 목표아래 연결-유입-성장의 3대 전략, 20개 핵심과제, 100대 과제를 선정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게 3대 전략인데 먼저 ‘연결’전략은 전 국민이 전남을 ‘두 번째 고향처럼 느끼도록’ 관계 인구를 넓히는데 중점을 두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전남 사랑애(愛) 서포터즈 100만 명 육성’을 통해 전남의 관광, 특산품, 귀농귀촌 정보를 지속적으로 알려 잠재적인 정주 인구로 유입시킨다는 것이다.

‘유입’은 전남에 ‘머무를 이유’를 만드는 것을 말하며 이를 위해 일·쉼·체험이 공존하는 체류형 생활공간과 콘텐츠를 확충하는 것이다.

‘성장’ 전략은 머무는 인구가 전남과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고 삶의 터전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농어촌의 유휴 주택 리모델링해 워케이션이나 단기 체류 공간으로 재활용하거나 지역 활력을 높이는 ‘전남형 빈집재생 프로젝트’ 추진이 좋은 예다.

이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돼 전남에 월 1000만명이 체류할 경우, 올 1분기 전남 생활인구 1인당 평균 소비액(12만3000원)으로 산정한 연간 소비효과는 무려 15조원이나 된다. 이 프로젝트가 지역소멸을 막는 대안이 되길 바란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사설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