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군, 수상레포츠 관광단지로 소멸위기 돌파
경정장·워터파크·리조트 등 복합 체류형 산업 설계
조상래 군수 "지역자원 활용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조상래 군수 "지역자원 활용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입력 : 2025. 11. 19(수) 08:06
본문 음성 듣기
가가
곡성군청 전경
곡성군이 인구소멸 위기를 정면 돌파하기 위한 수상레포츠 관광단지 조성을 통한 경정장 유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9일 곡성군에 따르면 일자리 창출과 젊은 인구 유입을 통한 지방소멸 극복을 위해 민간투자를 기반으로 한 경정장 유치를 추진하기로 했다.
곡성군은 인구감소지수 전국 5위, 고령인구 41.4%의 초고령 지역이다. 청년 인구의 지속적인 유출로 지역 활력이 급격히 저하되고 있다.
특히 정부가 최근 소멸위기 지역 재도약 지원을 강화하고 있고, 문화체육관광부가 K-관광 혁신팀을 출범시키며 지역 관광을 통한 성장 모델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도 곡성군의 방향성을 뒷받침한다.
곡성 수상레포츠 관광단지는 경정장을 중심으로 워터파크·리조트, 래프팅파크 등을 복합 조성해 관광, 레저, 문화, 숙박, 체험을 하나의 체류형 산업으로 설계하고 직접·간접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젊은 세대가 선호하는 레저·관광 산업 분야의 일자리 창출은 청년 인구의 유출을 막고 곡성으로의 귀향·이주를 촉진하는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군은 경정장 조성을 기존 사행산업 시설과 다른 방향성을 제시할 계획이다. 경주가 없는 날에도 주민과 관광객에게 상시 개방되는 사회 환원형 복합문화공간으로 설계해, 단순한 레이스가 아닌 레저·숙박·체험·문화 등이 결합된 체류형 관광 클러스터를 지향한다.
관광객 유치, 경주시행 수익, 지방재정 확충, 주민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문체부가 최근 K-관광 혁신팀을 출범시키며 지역 관광의 혁신모델을 확대하고 있어 곡성 경정장은 호남형 K-관광 대표 사례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
수상레포츠 관광단지 조성은 국토균형발전과 소멸위기 지역 재도약이라는 국가 정책 목표와도 정합성이 높다. 경정장을 중심으로 워터파크·리조트·래프팅파크 등이 결합되면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선수와 관련 종사자의 안정적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조상래 곡성군수는 “수상레포츠 관광단지는 단순한 시설 건립을 넘어 지역자원을 활용한 사회복합환원공간으로서 지역소멸 위기 극복과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창출하는 지속 가능한 지역 관광 활성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19일 곡성군에 따르면 일자리 창출과 젊은 인구 유입을 통한 지방소멸 극복을 위해 민간투자를 기반으로 한 경정장 유치를 추진하기로 했다.
곡성군은 인구감소지수 전국 5위, 고령인구 41.4%의 초고령 지역이다. 청년 인구의 지속적인 유출로 지역 활력이 급격히 저하되고 있다.
특히 정부가 최근 소멸위기 지역 재도약 지원을 강화하고 있고, 문화체육관광부가 K-관광 혁신팀을 출범시키며 지역 관광을 통한 성장 모델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도 곡성군의 방향성을 뒷받침한다.
곡성 수상레포츠 관광단지는 경정장을 중심으로 워터파크·리조트, 래프팅파크 등을 복합 조성해 관광, 레저, 문화, 숙박, 체험을 하나의 체류형 산업으로 설계하고 직접·간접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젊은 세대가 선호하는 레저·관광 산업 분야의 일자리 창출은 청년 인구의 유출을 막고 곡성으로의 귀향·이주를 촉진하는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군은 경정장 조성을 기존 사행산업 시설과 다른 방향성을 제시할 계획이다. 경주가 없는 날에도 주민과 관광객에게 상시 개방되는 사회 환원형 복합문화공간으로 설계해, 단순한 레이스가 아닌 레저·숙박·체험·문화 등이 결합된 체류형 관광 클러스터를 지향한다.
관광객 유치, 경주시행 수익, 지방재정 확충, 주민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문체부가 최근 K-관광 혁신팀을 출범시키며 지역 관광의 혁신모델을 확대하고 있어 곡성 경정장은 호남형 K-관광 대표 사례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
수상레포츠 관광단지 조성은 국토균형발전과 소멸위기 지역 재도약이라는 국가 정책 목표와도 정합성이 높다. 경정장을 중심으로 워터파크·리조트·래프팅파크 등이 결합되면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선수와 관련 종사자의 안정적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조상래 곡성군수는 “수상레포츠 관광단지는 단순한 시설 건립을 넘어 지역자원을 활용한 사회복합환원공간으로서 지역소멸 위기 극복과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창출하는 지속 가능한 지역 관광 활성화의 성공모델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박정렬 기자 holbul@gwangnam.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