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지역 ‘노쇼 사기’로 132건 18억원 피해
군 간부 등 사칭…경찰, 피해예방 홍보영상 제작
입력 : 2025. 08. 28(목) 18:15
본문 음성 듣기
가가
올해 전남지역에서 발생한 132건의 ‘노쇼 사기’로 18억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전남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발생한 노쇼 사기 피해는 132건, 피해액은 18억원으로 집계됐다.
군 간부를 사칭해 전투식량 대납을 요청하거나 교정본부 공무원의 위조 신분증을 제시해 물품 구입 비용 대리결제를 요구하는 사례가 주로 발생했다.
최근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이나 연예인 소속사, 대기업을 사칭하는 등 노쇼 사기 시나리오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노쇼 사기는 어려운 경제 상황에 놓인 소상공인들에게 금전적·심리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국가기관의 신뢰까지도 무너뜨리고 있다
이에 경찰은 노쇼 사기 예방을 위해 소상공인연합회 등 관련 단체들과 지속적으로 간담회를 실시했다. 또 전남 대표 해운회사인 씨월드고속훼리, 목포의 랜드마크인 해상케이블카와 함께 대국민 홍보를 추진했다.
아울러 지역 출신 유명가수 박지현과 함께 △물품 대량 주문은 반드시 실제 사무실에 확인 △대리구매 요청은 단호하게 거절 등 노쇼 사기 예방 홍보 영상을 제작했다.
홍보 영상은 전남경찰청 유튜브, 전남교육청, 시·군 자치단체와 씨월드고속훼리, 목포·여수 해상케이블카 등 지역 소재 기업과 협업해 전광판, 버스정보시스템 등에 대대적 송출되고 있다.
모상묘 전남경찰청장은 “피싱·노쇼 등 사기 범죄는 형사처벌은 가능해도 피해금 회복이 쉽지 않아 사전에 예방하는 노력이 중요하다”며 “소상공인을 노리는 범죄의 예방과 단속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28일 전남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발생한 노쇼 사기 피해는 132건, 피해액은 18억원으로 집계됐다.
군 간부를 사칭해 전투식량 대납을 요청하거나 교정본부 공무원의 위조 신분증을 제시해 물품 구입 비용 대리결제를 요구하는 사례가 주로 발생했다.
최근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이나 연예인 소속사, 대기업을 사칭하는 등 노쇼 사기 시나리오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노쇼 사기는 어려운 경제 상황에 놓인 소상공인들에게 금전적·심리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국가기관의 신뢰까지도 무너뜨리고 있다
이에 경찰은 노쇼 사기 예방을 위해 소상공인연합회 등 관련 단체들과 지속적으로 간담회를 실시했다. 또 전남 대표 해운회사인 씨월드고속훼리, 목포의 랜드마크인 해상케이블카와 함께 대국민 홍보를 추진했다.
아울러 지역 출신 유명가수 박지현과 함께 △물품 대량 주문은 반드시 실제 사무실에 확인 △대리구매 요청은 단호하게 거절 등 노쇼 사기 예방 홍보 영상을 제작했다.
홍보 영상은 전남경찰청 유튜브, 전남교육청, 시·군 자치단체와 씨월드고속훼리, 목포·여수 해상케이블카 등 지역 소재 기업과 협업해 전광판, 버스정보시스템 등에 대대적 송출되고 있다.
모상묘 전남경찰청장은 “피싱·노쇼 등 사기 범죄는 형사처벌은 가능해도 피해금 회복이 쉽지 않아 사전에 예방하는 노력이 중요하다”며 “소상공인을 노리는 범죄의 예방과 단속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임영진 기자 looks@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