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미술관인가’ 물으며 서로가 서로를 각인
‘미술·소리 연계’전 이강하 미술관서
내달까지 장애인·비장애인 공유 시도
문선희·신미경·장전 프로젝트 출품
수어·음성 해설…점자 워크북 등 도움
내달까지 장애인·비장애인 공유 시도
문선희·신미경·장전 프로젝트 출품
수어·음성 해설…점자 워크북 등 도움
입력 : 2025. 08. 21(목) 18:04
본문 음성 듣기
가가
신미경 작 ‘풍화프로젝트’

신미경 작 ‘화장실 프로젝트’
이강하미술관이 (재)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과 협력해 지난 20일 개막, 오는 10월 30일까지 ‘모두의 미술, 소리와 미술관’이라는 주제로 여는 전시가 그것으로, 다른 일반 전시들과는 달리 모두가 이용 가능한 ‘모두의 미술관’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신경을 썼다.
이번 전시는 서로가 서로에게 기댈 수 있는 전시이자 예술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기획됐다. 대부분의 시각예술 전시가 ‘본다’는 감각을 통해 예술의 의미를 전달했다면, 이번 전시에서 ‘본다’는 감각 외 다른 감각들을 일깨워 예술의 의미를 관람객에게 전하는데 비중을 두고 있다.

이선 학예실장이 전시 작품을 설명하고 있다.

이선 학예실장
아울러 장애인과 문화 소외계층에서 느끼는 물리, 심리적 장벽과 사회적 관점의 경계를 허물고 다양한 예술가들과 함께 무장애콘텐츠를 연구, 개발해 감각을 확장하는 등 장벽을 없애는 현대미술작품들을 엄선해 구성됐다.
또한 이 전시는 단순하게 시대가 정한 의료적 관점에서 정상과 장애인으로 구분했던 경향을 버리고, 볼 수 없지만 볼 수 있는 감각, 감정을 통해 설치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다각적인 방법을 고민했다는 설명이다.
이번 전시는 지역의 무장애 접근성 프로그램 연구개발을 통해 광주 공립미술관의 문화소외계층 관람객 확대 및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미술관에서 만나 예술적 경험과 일상적 활동을 연결할 수 있도록 꾀했다.
참여 작가로는 문선희(사진), 신미경(조각), 장전 프로젝트(AI미디어아트, 장준영&전지윤) 등이다. 이들 작품은 한결같이 기존 작품을 새롭게 무장애 전시 작품으로 재구성하고 각 작품들을 통해 타자의 몸에 전달되는, 또 다른 감각을 확장해 느낄 수 있도록 제작, 배치했다.

문선희 작 ‘라니’

오디오 체험과 점자 블럭
전시장 출구 세면대에는 신미경 작가의 ‘화장실 프로젝트’가 설치됐다. 이 작품은 발상의 전환이 돋보인 작품으로 평가된다.
고선주 기자 rainidea@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