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분산에너지 연계에 10조2000억 투입
제1차 장기배전계획 확정…155건 공용회선 신설
2028년까지 25.5GW→36.6GW 44% 증가 전망
2028년까지 25.5GW→36.6GW 44% 증가 전망
입력 : 2025. 07. 29(화) 16:14
본문 음성 듣기
가가한국전력은 재생에너지 공급 확대 및 지역 분산형 에너지 체계 구축을 위해 ‘제1차 장기 배전계획’을 수립하고 산업통상자원부 제314차 전기위원회 보고 후 최종 확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지난해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처음으로 수립된 장기 배전계획으로 2024~2028년까지 5년간 배전망 증설·운영 계획 및 관련 신기술·제도 등을 담고 있다.
장거리 송전망 구축에 앞서 전기를 사용자에게 보내는 배전망을 강화해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주변으로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이른바 ‘지산지소’(지역생산 지역소비) 형태의 분산에너지 체계를 우선 강화하는 게 핵심이다. 대형 발전소가 아니라 지역의 재생에너지 설비나 소규모 발전시설에서 나오는 전기를 배전망을 통해 가정과 기업 등에 효과적으로 공급하려는 것이다.
한전은 이를 위해 전국 173개 지자체와 협력해 발전사업 허가 현황을 조사하고, 향후 배전망에 연결될 분산에너지 용량을 예측했다. 조사 결과 배전망 연계 분산에너지는 2024년 말 25.5GW에서 2028년 말 36.6GW로 약 4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호남권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보급이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한전은 분산에너지 적기 연계를 위해 5년간 약 2조원, 전기사용자망에는 8조2000억원 등 총 10조2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배전선로 용량 확보를 위해 변전소로부터 신규 회선을 인출하는 공용배전회선을 155건 신설하고 접속설비를 구축한다.
또한 정부와 협력해 AI 기반 배전망 운영을 위한 분산e 지능형 인프라 확대, 한전과 전력거래소의 전력계통운영 협조체계 강화, 배전계통 운영 신뢰도 기준 강화 등 안정적 전력 공급을 위한 정책도 적극 추진한다.
한전은 배전망 증설 및 운영계획 외에도 민간 협력 분산형 에너지 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도 추진한다. 우선 올해 말부터 지역 유연성 서비스(민간 ESS 등 활용)를 제주 지역에 시범 운영하고 2027년 본격 시행할 예정이며, 차기 장기 배전계획 수립시 지자체와 민간이 참여할 수 있는 절차도 마련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분산 전력망 기술 로드맵을 하반기에 발표하고, DSO Alliance(한전-민간 협의체)를 구성해 민간과 기술·정책 교류 확대를 통해 분산에너지 관련 산업 활성화를 추진한다.
한전 관계자는 “이번 계획을 통해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이행함과 동시에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태계 조성에 앞장설 것”이라며 “또한 지역에서 생산한 전기를 지역에서 사용하는 분산형 전력 시스템 기반을 마련해 국민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기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제1차 장기 배전계획에 대한 주요 내용은 한전 홈페이지(http://www.kepco.c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번 계획은 지난해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처음으로 수립된 장기 배전계획으로 2024~2028년까지 5년간 배전망 증설·운영 계획 및 관련 신기술·제도 등을 담고 있다.
장거리 송전망 구축에 앞서 전기를 사용자에게 보내는 배전망을 강화해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주변으로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이른바 ‘지산지소’(지역생산 지역소비) 형태의 분산에너지 체계를 우선 강화하는 게 핵심이다. 대형 발전소가 아니라 지역의 재생에너지 설비나 소규모 발전시설에서 나오는 전기를 배전망을 통해 가정과 기업 등에 효과적으로 공급하려는 것이다.
한전은 이를 위해 전국 173개 지자체와 협력해 발전사업 허가 현황을 조사하고, 향후 배전망에 연결될 분산에너지 용량을 예측했다. 조사 결과 배전망 연계 분산에너지는 2024년 말 25.5GW에서 2028년 말 36.6GW로 약 4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호남권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보급이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한전은 분산에너지 적기 연계를 위해 5년간 약 2조원, 전기사용자망에는 8조2000억원 등 총 10조2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배전선로 용량 확보를 위해 변전소로부터 신규 회선을 인출하는 공용배전회선을 155건 신설하고 접속설비를 구축한다.
또한 정부와 협력해 AI 기반 배전망 운영을 위한 분산e 지능형 인프라 확대, 한전과 전력거래소의 전력계통운영 협조체계 강화, 배전계통 운영 신뢰도 기준 강화 등 안정적 전력 공급을 위한 정책도 적극 추진한다.
한전은 배전망 증설 및 운영계획 외에도 민간 협력 분산형 에너지 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도 추진한다. 우선 올해 말부터 지역 유연성 서비스(민간 ESS 등 활용)를 제주 지역에 시범 운영하고 2027년 본격 시행할 예정이며, 차기 장기 배전계획 수립시 지자체와 민간이 참여할 수 있는 절차도 마련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분산 전력망 기술 로드맵을 하반기에 발표하고, DSO Alliance(한전-민간 협의체)를 구성해 민간과 기술·정책 교류 확대를 통해 분산에너지 관련 산업 활성화를 추진한다.
한전 관계자는 “이번 계획을 통해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이행함과 동시에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태계 조성에 앞장설 것”이라며 “또한 지역에서 생산한 전기를 지역에서 사용하는 분산형 전력 시스템 기반을 마련해 국민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기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제1차 장기 배전계획에 대한 주요 내용은 한전 홈페이지(http://www.kepco.c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