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서남권 RE100 국가산단 조성’ 가속도 붙는다
정부, 2.3GW 전력망 ‘계통 연계 절실’ 호남권 우선 배분
대통령실 타운홀미팅·산단 공식화 등 잇단 긍정적 신호
대통령실 타운홀미팅·산단 공식화 등 잇단 긍정적 신호
입력 : 2025. 07. 15(화) 17:59
정부가 송전망 포화로 수년째 막혀 있던 호남권 전력 계통 접속을 연내 2.3기가와트(GW) 규모로 재개하기로 했다. 대통령실이 지난달 광주·전남 타운홀미팅을 통해 지역 민심을 직접 청취한 데 따른 후속 조치로, 재생에너지 공급 과잉과 접속 지연으로 병목현상을 겪던 태양광·풍력 사업에 사실상 정책 전환 신호탄이 올랐다는 평가가 나온다.
더욱이 대통령실이 최근 ‘RE100(재생에너지 100%) 산업단지’ 조성을 공식화한데다 후속 조치로 반드시 필요했던 부족한 계통 연계 문제도 재분배 추진으로 일정부분 이뤄지게 돼 전남도의 ‘서남권 RE100 국가산단’ 조성에 가속도가 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전력계통 접속 대기 해소를 위해 허수사업자 회수물량과 배전단 유연접속 방식으로 총 2.3GW의 계통 접속을 연말까지 순차 배분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전력망 보강이 물리적으로 지연되는 가운데, 유휴자원 정리와 조건부 접속 방식을 병행해 시급한 병목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최근 대통령실이 RE100 산단 조성을 공식화에 뒤따르는 필수 요건이라 할 수 있어 전남 서남권 RE100 국가산단 조성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호남권은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량이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지만, 신규 발전 설비가 송전망에 연결되지 못해 ‘묶여 있는 전기’ 문제가 지속돼 왔다.
이 같은 상황 타개를 위해 지난달 광주에서 열린 대통령실 타운홀미팅에서 현장에 참석한 지역 관계자들은 전력망 병목으로 인한 손실과 재생에너지 산업 정체를 지적하며 정부 차원의 조속한 대책을 요청했고, 대통령실은 “연내 접속 물량을 우선 확보해 공급 병목을 풀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산업부가 이번에 발표한 접속 재개 물량은 총 2.3GW다. 이 중 0.4GW는 접속 허가만 받은 채 장기간 실제 사용이 없던 ‘허수 사업자’의 회수 물량이며, 나머지 1.9GW는 출력 과잉 시 우선 제어 조건을 붙인 배전단 유연접속 방식이다.
정부는 이달 말까지 허수 회수 물량을 기존 접속대기 사업자에게 우선 배분하고, 다음달 잔여 물량을 신규 사업자에게도 개방할 계획이다. 또 유연접속 물량은 8월 중 호남권을 대상으로 우선 배분하고, 9월부터는 전국 단위로 배전단 유연접속 가능 물량과 추가 회수 물량을 확정해 10월부터 본격적인 배분에 나선다.
호남 지역에서는 재생에너지 사업 정체를 풀어낼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실제로 계통 접속이 지연되면 설비투자는 물론, REC(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발급, 수익 실현 등 모든 사업 단계가 막혀 사업 포기가 속출하는 악순환이 이어져 왔다. 산업계는 이번 접속 재개 조치가 신호탄이 되어, 향후 전국적으로도 계통 유연성을 높이는 정책 전환이 확산되길 기대하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RE100 산단 조성과 부족한 계통 연계는 함께 추진돼야 하는 사항으로, 정부의 이번 전력망 재분배 계획은 서남권 RE100 국가산단 조성에 긍정적 신호라 할 수 있다”며 “더욱이 전남에서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추진을 계획하고 있는 민간기업들에게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더욱이 대통령실이 최근 ‘RE100(재생에너지 100%) 산업단지’ 조성을 공식화한데다 후속 조치로 반드시 필요했던 부족한 계통 연계 문제도 재분배 추진으로 일정부분 이뤄지게 돼 전남도의 ‘서남권 RE100 국가산단’ 조성에 가속도가 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전력계통 접속 대기 해소를 위해 허수사업자 회수물량과 배전단 유연접속 방식으로 총 2.3GW의 계통 접속을 연말까지 순차 배분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전력망 보강이 물리적으로 지연되는 가운데, 유휴자원 정리와 조건부 접속 방식을 병행해 시급한 병목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최근 대통령실이 RE100 산단 조성을 공식화에 뒤따르는 필수 요건이라 할 수 있어 전남 서남권 RE100 국가산단 조성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호남권은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량이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지만, 신규 발전 설비가 송전망에 연결되지 못해 ‘묶여 있는 전기’ 문제가 지속돼 왔다.
이 같은 상황 타개를 위해 지난달 광주에서 열린 대통령실 타운홀미팅에서 현장에 참석한 지역 관계자들은 전력망 병목으로 인한 손실과 재생에너지 산업 정체를 지적하며 정부 차원의 조속한 대책을 요청했고, 대통령실은 “연내 접속 물량을 우선 확보해 공급 병목을 풀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산업부가 이번에 발표한 접속 재개 물량은 총 2.3GW다. 이 중 0.4GW는 접속 허가만 받은 채 장기간 실제 사용이 없던 ‘허수 사업자’의 회수 물량이며, 나머지 1.9GW는 출력 과잉 시 우선 제어 조건을 붙인 배전단 유연접속 방식이다.
정부는 이달 말까지 허수 회수 물량을 기존 접속대기 사업자에게 우선 배분하고, 다음달 잔여 물량을 신규 사업자에게도 개방할 계획이다. 또 유연접속 물량은 8월 중 호남권을 대상으로 우선 배분하고, 9월부터는 전국 단위로 배전단 유연접속 가능 물량과 추가 회수 물량을 확정해 10월부터 본격적인 배분에 나선다.
호남 지역에서는 재생에너지 사업 정체를 풀어낼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실제로 계통 접속이 지연되면 설비투자는 물론, REC(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발급, 수익 실현 등 모든 사업 단계가 막혀 사업 포기가 속출하는 악순환이 이어져 왔다. 산업계는 이번 접속 재개 조치가 신호탄이 되어, 향후 전국적으로도 계통 유연성을 높이는 정책 전환이 확산되길 기대하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RE100 산단 조성과 부족한 계통 연계는 함께 추진돼야 하는 사항으로, 정부의 이번 전력망 재분배 계획은 서남권 RE100 국가산단 조성에 긍정적 신호라 할 수 있다”며 “더욱이 전남에서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추진을 계획하고 있는 민간기업들에게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