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건설노동자, 생존권 보장 촉구
19·26일 총파업대회 예고
입력 : 2025. 07. 06(일) 17:52
전국건설노동조합 광주·전남건설기계지부는 지난 5일 광주시청 앞에서 ‘건설기계 노동자 대회’를 열고 건설 경기 불황에 따른 생존권 보장을 촉구했다.
지난 5일 광주시청에서 광주·전남 건설노동자들이 고용정책, 악성 정책 등을 부수는 포크레인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광주·전남 건설 노동자들이 건설경기 불황 장기화에 따른 생존권 보장을 촉구했다.

6일 전국건설노동조합 광주·전남건설기계지부에 따르면 5일 오후 광주시청 앞에서 ‘생존권 보장 및 법제도 안착을 위한 건설기계노동자대회’가 열렸다.

이날 집회에는 주최 측 추산 300여명의 건설노조 조합원과 500여대의 중장비가 투입됐다.

집회 참가자들은 현재의 건설경기 불황 속에서 건설기계 노동자들이 겪고 있는 체불 임금, 고금리 할부 압박, 장비 압류 위험, 불법 다단계 하도급·불법 고용, 장시간 중노동, 안전 무시 등 열악한 노동 현실을 성토했다.

이들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 건설기계임대차계약서 작성 의무화, 임대대금 지급보증 가입 의무화, 공공공사 전자대금지급시스템 도입, ‘카고크레인’, ‘살수차’, ‘스카이’ 등 직종에 대한 체불 보장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종욱 민주노총 본부장은 “건설노동자의 체불임금 방지와 고용안정 보호를 위한 조례를 제정한 지 15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노동자들이 거리에서 투쟁하고 있다”며 “광주시가 민간·관급 건설현장을 직접 점검해 체불임금, 불법고용, 외국인 고용, 표준계약서 및 근로계약서 체결 여부를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본부장은 “광주에는 국토부에 등록된 건설장비가 4500대에 달하는데 이 노동자들의 고용을 어떻게 보장할 것인지 광주시와 민주노총, 건설노조 기계지부가 머리를 맞대고 협상을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건설경기가 최악이라는 평가 속에서도 광주 도시철도2호선, 고속도로 재개 등 일부 관급공사는 진행되고 있다”며 “최소한 이 현장은 표준계약과 임금체불 방지 장치가 철저히 지켜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이재명 정부는 건설기계 노동자들의 ‘우리도 일하고 싶다’는 절박한 외침에 특단의 고용대책으로 답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건설노조는 오는 19일과 26일 광양 포스코, 전남도청 앞에서 각각 총파업대회를 열고 준법 투쟁을 이어갈 예정이다.
양홍민 기자 yhb9792@gwangnam.co.kr
사회일반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