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시내버스 노조 "28일 조정 결렬되면 전면 파업"
29일 오전 5시 40분 첫차부터…조합원 1500여명 동참
입력 : 2025. 05. 27(화) 18:21
광주 시내버스 노동자들이 오는 28일 2차 특별조정회의가 결렬되면 전면파업에 돌입한다고 예고했다.

27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광주지역버스지부에 따르면 광주지방고용노동청의 2차 조정이 28일 오후 2시부터 진행된다.

앞서 노조는 27일 오후 6시부터 28일 오후 6시까지 조합원 파업 찬반 투표를 실시한다.

이후 투표 결과가 찬성 과반수 이상으로 나오고, 2차 조정이 결렬될 경우 29일 오전 5시40분 첫차부터 전면 운행 중단에 들어갈 예정이다.

파업에 동참하는 조합원은 1500여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며 시내버스 1041대가 멈춰설 것으로 전망된다.

노조는 이번 교섭의 핵심 쟁점으로 임금 8.2% 인상과 정년 65세 연장, 국민연금 수급 시점과의 정합성 확보, 근로시간 단축과 안전문제 개선 등을 내걸고 있다.

특히 전국 평균 정년은 63세(대구 등 65세)인 반면 광주는 61세로 제한된 것에 대한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노조는 “국민연금 수령이 65세부터 시작되는데 정년이 61세로 끝나면 4년간 생계 공백이 생긴다”며 “현실에 맞는 조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광주시가 비상 수송대책으로 관광버스를 투입할 경우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예고했다.

이들은 “광주시가 대체 운행을 시도한다면 이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43조 위반이다”며 “정당한 쟁의행위 중 대체근로를 금지한 조항에 따라 형사고발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광주시는 청사 세미나1실에서 ‘2025년 시내버스 파업 대비 유관기관 비상수송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광주시, 5개 자치구, 광주시교육청, 광주교통공사, 시내버스회사 관계자 등 23명이 참석했다.

광주시는 파업 기간 중 시내버스 운행 대수 감소가 불가피함에 따라 노선별 이용 인원과 출퇴근 시간 등을 고려해 시내버스 운행 노선과 시간표를 조정하고 임차버스를 투입한다.

도시철도와 택시의 운행도 확대한다. 자치구, 교육청, 기관·기업 등과 협력해 등하교 시간 연장, 출퇴근 유연근무 확대, 승용차 함께 타기 캠페인 등도 적극 추진한다.

광주시·자치구·경찰청 등이 참여하는 현장점검반을 구성해 시내버스 기·종점, 회차지의 비노조원 버스운행에 대한 노조원의 방해 등을 차단할 방침이다.
양홍민 기자 yhb9792@gwangnam.co.kr
사회일반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